섹션

태풍 `덴빈' 전남 완도 상륙… 호남 물폭탄·중부 비상

[재경일보 김시내 기자] 제14호 태풍 '덴빈(TEMBIN)'이 오전 10시45분께 전남 완도 부근 해안에 상륙했다.

덴빈은 방향을 다소 동쪽으로 틀어 시속 42㎞의 빠른 속도로 동북동진하고 있다.

현재 중심기압 985헥토파스칼(hPa)에 최대풍속 초속 27m, 강풍반경 180㎞로 강도는 중급이고 크기는 소형이다.

덴빈은 우리나라 중부 내륙을 관통한 뒤 31일 아침 속초 근처를 통해 동해로 빠져나갈 것으로 보인다.

덴빈은 상륙 이후 힘을 잃어 이날 밤에는 최대풍속이 초속 20m 안팎까지 떨어지고 강풍반경도 100㎞ 정도로 작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덴빈의 영향으로 현재 호남 지방에는 폭우가 쏟아지고 있다.

30일 오전 10시 현재 강우량은 진도(첨찰산) 215mm, 신안(임자도) 166mm, 목포 131.1mm, 군산 새만금 125㎜, 부안 위도 114㎜를 기록하는 등 전남북 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리고 있다. 충남지역도 부여 82.5㎜, 대전 58.1㎜, 보령 57.5㎜를 기록했다.

특히 `덴빈'이 북상하는 길목인 전남 목포지역은 시간당 30㎜의 집중 호우가 내리면서 죽교동 신안비치호텔 앞 도로 등 곳곳이 침수돼 물바다를 이뤘다.

오전 11시 현재 목포의 시간당 강수량이 30㎜를 넘었으며, 누적 강수량은 130㎜에 이르고 있다. 폭우가 3시간여 동안 쏟아지면서 죽교동, 북항동, 상동 시외버스터미널, 2·3호 광장 등 저지대 일대 도로가 물에 잠겨 차량이 통제됐으며, 사정을 모른 운전자들은 물에 잠긴 도로를 보고 놀라 차량을 돌리는 등 큰 혼잡을 빚었다.

폭우가 계속 이어질 경우 해수위 만조시간인 오후 1시18분을 전후해 빗물이 바다로 빠져나가지 못해 시내 전역이 물바다로 변할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시 당국은 예상하고 있다. 목포시 공무원들은 현장에서 물을 퍼내고 모래주머니를 쌓는 등 피해 최소화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충남 보령 등 서해안 지방은 백중사리와 겹쳐 해안가 저지대의 침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백중날은 음력 7월 15일(9월 1일)로, 이 시기를 전후해 연중 조고가 가장 높다.

항공편의 경우 오전 6시50분 제주를 떠나 김포로 갈 예정인 대한항공 KE1600편 결항을 시작으로 제주 출발·도착 항공편의 결항이 잇따랐다.

김해공항을 이·착륙할 예정이던 국내선 항공기들의 결항도 속출했다.

또 오전 7시를 기해 서해상에 풍랑주의보가 발효돼 인천과 섬 지역을 오가는 13개 항로 가운데 인천~연평도 등 10개 항로의 운항도 중단됐다.

산림청은 이날 오전 10시를 기해 신안군 도초면과 하의면, 진도군 전역에 산사태 경보를 발령했다. 충남 예산군 신양면과 경북 김천시 일대에는 산사태 주의보를 발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