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LTE 가입자수 SK텔레콤·LG유플러스·KT 순… 작년 말 1589만명

[재경일보 김상현 기자] 국내 4G LTE(롱텀에볼루션) 가입자가 지난해 말 기준으로 1600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년 사이에 가입자가 무려 13배 이상 늘어나면서 세계 LTE 가입자의 무려 30%가량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에서 LTE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 3명 중 약 1명은 한국인인 셈이다.

또 통신사별 LTE 가입자 수는 SK텔레콤, LG유플러스(U+), KT 순으로 많다.

작년에는 이동통신 3사 간 LTE 경쟁이 뜨겁게 전개된 가운데 삼성전자, LG전자, 팬택, 애플 등 단말기 제조사들이 치열한 LTE 스마트폰 출시 경쟁을 벌이면서 LTE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늘었다.

특히 이통3사가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영업정지 처분을 받을 정도로 치열한 '보조금 경쟁'을 펼친 것이 LTE 가입자 급증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3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작년 말 국내 LTE 가입자 수는 1589만명으로 2011년 말에 비해 13.4배나 급증했다.

지난 1년 동안 증가한 LTE 가입자 수는 1470만명으로, 한 달에 평균 122만5000명, 하루 평균 4만명이 LTE에 새로 가입한 셈이다.

또 전 세계에서 LTE를 사용하는 약 3명 중 1명(28%)이 우리나라 가입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는 작년 LTE 가입자 수가 전 세계적으로 572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 바 있으며, 월드 셀룰러 인포메이션 서비스(WCIS)는 작년 11월 기준 전 세계 LTE 가입자 수가 5453만명이라고 발표했었다.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17번째로 LTE를 상용화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의 LTE 성장세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고 할 수 있다.

업체별로는 SK텔레콤(760만명), LG유플러스(439만명), KT(390만명) 순으로 LTE 가입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말에는 SK텔레콤 63만명, LG유플러스 56만명 등 총 119만명이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작년 LTE 가입자 목표인 700만명, 400만명을 초과달성했으며, KT는 목표인 400만명을 채우지는 못했지만 타사보다 6개월 이상 늦게 LTE를 상용화하면서 벌어진 차이를 단기간에 좁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