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이통소비자들의 힘"… 기본료 3300원짜리 통신요금제 내놨다

[재경일보 김상현 기자] 비싼 통신요금에 뿔난 이동통신 소비자들이 조합을 만들어 기본료를 70%나 낮춰 기본료 3000원짜리 알뜰폰 요금을 내놨다.

8일부터 본격적으로 조합원을 모집할 예정인데, 어느 정도의 호응을 얻느냐에 따라 이동통신 3사의 독과점 체제로 굳어진 시장구도에 큰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전국통신소비자협동조합은 8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알뜰폰(MVNO·이동통신재판매) 업체와 손잡고 기존보다 70% 저렴한 이동전화 서비스를 공동구매해 통신시장 구조를 개편하겠다"면서 "KT의 알뜰폰 제휴사인 에버그린 모바일의 통신 서비스를 ▲기본료 3300원 ▲통화요금 초당 1.8원 ▲문자메시지 건당 15원의 조건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동구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1만원만 추가로 내면 3G(세대) 망에서 월 500MB(메가바이트) 분량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고 와이파이(WiFi·무선랜) 구역에서는 데이터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이 조합은 조합원에게 싼값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VNO)를 체결, "조합 수익에서 매월 2000원을 보조하는 조건으로 5300원인 알뜰폰 요금제 기본료를 3300원으로 낮췄다"고 설명했다. 이는 이동통신 3사의 일반 요금제 기본료(1만1000원)의 30%에 불과한 것으로, 기본료가 70% 인하되면 이용자는 부가세를 포함해 월 8470원을 아낄 수 있어 4인 가족 기준으로 연간 통신비 지출액이 40만6560원이나 줄어들어 가계의 통신비 부담을 크게 낮출 것으로 보인다.

조합측은 기본료를 이 같이 낮출 수 있었던 것에 대해 “알뜰폰 공급가액에도 마케팅비가 포함돼 있는데, 우리 경우는 공동구매 형식이어서 마케팅비가 들지 않는다. 그 비용만큼을 업체 쪽이 부담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조합원은 1만원 이상의 조합비를 내야 하지만 통신사 측에서 개통을 조건으로 당분간 조합비를 대신 내주기로 했으며, 가입비과 유심(USIM)비도 당분간 면제여서 실제로 아무런 부담 없이 공동구매에 참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공동구매에 참여하려면 전화(☎1666-3300)나 인터넷(www.tong.or.kr)을 통해 조합원이 돼야 한다. 개통은 조합 가입 신청 후 약 15일 후에 가능하다.

이 조합은 다른 알뜰폰 업체 등 중소기업과 협력할 의향이 있으며, 전국의 교회·성당 등 종교단체 및 시민단체, 사회적기업 등과 긴밀히 협력해 통신비 인하 효과를 빠르게 확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또 고성능 휴대전화를 20만∼30만원대에 제공하고 오는 3월께 1만원대의 초고속인터넷 정액제를 내놓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용구 전국통신소비자협동조합 상임이사는 "공동구매 규모에 관한 목표치는 따로 없지만, 단말기 공동구매가 가능한 범위로 최대한 모집할 것"이라며 "단말기 공동구매 협상력을 키우기 위해 인천 아시안게임 등을 활용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는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제4 이동통신사' 허가권을 받기 위해 도전한 인터넷스페이스타임(IST) 측도 참여했다.

조합 측은 1년여 전부터 IST와 함께 토종 통신기술인 와이브로의 활성화 방안을 고민해왔다고 설명했다.

IST의 한영배 박사는 "값싼 통신비로 복지통신을 구현하겠다는 같은 명분을 공유하고 있고, 조합원에게 저렴한 통신서비스를 대량판매할 수 있다는 실리가 부합하기 때문에 조합과 같이 일하게 됐다"며 IST가 와이브로 기반 이동통신 사업권을 획득하면 이 조합과 제휴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단말기 공동구매에 대해서도 "국내 우수 제조업체뿐 아니라 팍스콘, 후지쯔, 노키아 등 해외 업체로부터 단말기를 공급받는 방안도 열려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