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조동일 기자] 수출 중소기업의 92.7%가 원·달러 환율 하락으로 피해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
5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최근 수출 중소기업 300곳을 대상으로 원·달러 환율 하락에 따른 피해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11월 조사때의 53.1%에 비해 무려 40% 포인트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특히 가전, 자동차부품 기업은 전부가 피해를 봤다고 응답했다.
이들 업종은 원화 가치는 가파르게 상승한 데 비해 엔화가치는 급락해 가격 경쟁력에서 일본 기업에 밀린 탓에 피해가 심각하다고 대한상의는 분석했다.
고무·플라스틱, 정보통신기기, 조선·플랜트, 기계·정밀기기 등의 업종도 모두 90%가 넘는 피해율을 보였다.
이에 비해 환율 하락으로 원가가 떨어지는 석유·화학과 철강·금속 기업의 피해율은 80%대 중반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주요 피해유형(복수응답)으로는 '이미 수출을 계약한 물량에 대한 환차손 발생'이 67.6%로 가장 많았고, '원화 환산 수출액 감소로 인한 채산성 악화 및 운전자금 부족'(27.7%), '수출단가 상승으로 가격 경쟁력 약화'(21.6%) 등이 뒤를 이었다.
원·달러 환율 하락에 대한 대책을 묻는 말에 30%는 '대책이 없다'고 했으며, 환율하락폭을 수출가격에 반영할 여지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47.3%는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엔저 현상으로 피해를 본 기업도 41.4%에 달했다.
손영기 대한상의 환율피해대책반 팀장은 "원화 강세가 당분간 이어지고 환율 변동폭도 작년보다 커질 것"이라면서 "환리스크 관리에 적극 나서는 한편 중소수출기업 정책금융 지원제도 등을 잘 활용하고 제품 차별화 등으로 비가격 경쟁력도 높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대한상의는 환율대책반 사무국(☎02-6050-3446)과 기업애로종합지원센터(☎1600-1572)에서 관련 상담과 환율변동위험관리 정보를 제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