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신한은행 '고비용·저효율 구조' 가장 심각

[재경일보 김동렬 기자] 지난 4년동안 국내 6개 시중은행들의 자산액을 기준으로 한 1인당 생산성이 곤두박질 친 것으로 조사됐다. 1인당 연봉 증가율이 자산 증가율의 3배를 넘어 은행의 가장 고질적인 고비용·저효율 구조가 더욱 심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한은행은 4년간 연봉 증가율이 30%를 상회했지만 1인당 자산 총액은 되레 쪼그라들어 6개 은행 중 최악의 생산성을 기록했다. 반면 IBK기업은행은 6개 은행 중 유일하게 연봉 증가율이 한자리 수에 머물렀지만 자산은 가장 많이 늘려 생산성 1위를 기록했다.

15일 재벌 및 CEO, 기업 경영 평가 사이트인 CEO스코어가 KB국민·우리·신한·하나·외환·기업은행 등 국내 6개 시중은행들의 최근 4년간(2009년~2012년) 1인당 연봉 및 자산액 증가 추이를 조사 분석한 결과, 1인당 자산 증가율은 10.7%를 기록한 반면 연봉증가율은 이의 3배인 32.7%에 달했다.

연봉에 대비한 자산 생산성이 곤두박질 친 셈이다. 거꾸로 생산성을 감안했을 때 연봉 인상률이 너무 높다는 해석이다.

이들 6개 시중은행의 2012년 1인당 평균 자산액은 214억원으로 지난 2009년의 194억원에 비해 10.7% 늘었다.

반면 직원들의 지난해 평균 연봉은 7600만원으로 2009년 5700만원보다 32.7%가 늘었다.
 
은행 직원들의 작년 말 기준 평균 연봉 수준은 국내 10대 그룹 대표기업들의 평균 연봉 6600만원보다 1000만원이 더 높고 증가율도 10대그룹 대표기업의 30.4%보다 앞섰다.
 
또 10대그룹 대표기업과 견줘 1인당 생산성도 크게 뒤졌다. 작년말 10대 그룹 대표기업 직원들의 1인당 생산성은 270억 원으로 은행의 214억 원을 훨씬 앞질렀고 증가율도 87.2%로 은행(10.7%)의 8배를 넘었다. 

국내 은행 중 가장 심각한 불균형을 보인 은행은 신한은행이었다. 신한은행은 2009년 227억9000만원이었던 1인당 자산액이 지난해는 226억5000만원으로 되레 0.6% 줄어들었다.
 
이처럼 1인당 자산액이 뒷걸음질했음에도 신한은행은 같은 기간 직원들의 연봉을 5800만원에서 7700만원으로 32.8%나 올렸다.

이와는 반대로 기업은행은 지난해 연봉이 6500만원으로 4년간의 연봉 증가율이 3.2%로 6개 은행 중 가장 낮았다. 반면 자산액은 218억원에서 264억원으로 21.2%나 늘어 생산성을 가장 크게 개선했다.
 
조사기간 가장 높은 연봉 증가율을 보인 은행은 한 집안이 된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이었다.
 
하나은행은 2009년 4800만 원이었던 평균연봉이 지난해는 7200만원으로 무려 50% 올랐고, 외환은행도 6200만 원에서 9000만원으로 45.2%가 늘었다.
 
특히 외환은행은 평균 연봉이 9000만원으로 2위 그룹인 국민은행과 신한은행보다도 1300만원의 차이를 두며 월등히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