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의 올 해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비 29.6% 감소한 1486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비 7.3% 증가한 3조1996억원, 당기순이익은 28.1% 감소한 985억원을 기록했다고 9일 전했다.
5G 투자 비용과 마케팅 비용이 늘면서 영업이익이 하락했다. 5G 가입자를 포함한 무선 가입자가 늘면서 매출은 다소 올랐다. 2분기 무선 가입자는 전년 동기 대비 10.7% 증가한 29만6000명을 기록하며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 특히,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시장 점유율 29%를 달성했다.
스마트홈 부문의 성장이 2분기 실적을 견인했다. 해당 부문의 매출은 9969억원으로, 전년 동기(9820억원)와 비교, 1.5% 상승했다. IPTV 가입자는 전년 동기(379만명)보다 11.9% 증가한 424만1000명을 기록했고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도 417만명을 기록, 전년 동기(394만6000명) 대비 5.7%가 증가했다.
IPTV 특화 서비스와 함께 넷플릭스 콘텐츠 독점 제공에 따른 영향이 계속된 것이 스마트홈 사업 성과를 견인했다고 LG유플러스는 보고 있다.
기업 매출은 전년 동기(5374억원) 대비 8.6% 감소한 4912억원을 기록했다. e-Biz와 전화사업 등이 부진했으나 IDC(인터넷 데이터 센터) 사업의 성장이 매출 감소를 방어했다
2분기 영업이익은 마케팅 비용과 5G 투자에 대한 감가상각비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7% 감소한 1486억원을 기록했다. 마케팅 비용은 전년 동기(5080억원) 대비 11.2% 증가한 5648억원을 사용했다.
2분기에 U+5G 서비스와 네트워크 인프라에 역량을 집중, 5:3:2라는 모바일 시장의 고착화된 점유율 구조의 변화가 시작됐다고 LG유플러스는 보고 있다.
LG유플러스는 하반기, 무선 서비스 부문에서 서비스와 콘텐츠를 강화해 가입자를 확보할 계획이다. U+프로야구에 AR 입체중계 서비스를 도입하고 클라우드 게임과 클라우드 VR 서비스를 시작한다.
스마트홈 서비스는 넷플릭스 콘텐츠 확대와 U+tv 아이들나라 3.0 등 서비스 경쟁력을 기반으로 성장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기업 서비스는 스마트스테이션, 자율주행 등 교통 사업 분야와 스마트 팩토리, 산업 IoT 등의 분야에서 5G 비즈니스 모델을 구체화하고 차세대 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하반기에 단말 라인업 확대, LG유플러스만의 네트워크 운영기술과 솔루션, 글로벌 기업과의 제휴를 바탕으로 프리미엄 서비스 및 콘텐츠를 선보여 서비스 중심으로 5G 시장의 차별화된 성장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