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골드만삭스 "트럼프 發 관세폭탄, 한국·대만 등에도 영향 가능성"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중국에 대한 관세 인상 가능성이 높아졌으나 한국이나 대만 등 다른 아시아 국가들도 이런 관세의 위협을 받을 수 있다고 미국 대형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전망했다.

11일(현지 시각) CNBC 방송에 따르면 골드만의 수석 아시아 태평양 이코노미스트인 앤드류 틸튼은 최근 메모에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의 대중 무역 적자는 다소 줄었지만 다른 아시아 수출국과의 적자는 크게 증가했으며 더 많은 조사를 받게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와 일부 지명자들이 양자 간 적자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일종의 ‘두더지 잡기’ 방식으로 급증하는 양자 간 적자가 결국 다른 아시아 경제에 대한 미국의 관세를 촉발할 위험이 있다”라고 내다봤다.

관세는 수입품에 부과하는 세금이지만 수출국이 지불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미국으로 제품을 수입하려는 기업이 미국 관세를 지불하게 되어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틸튼은 “한국, 대만, 특히 베트남은 미국에 비해 큰 무역 이익을 보고 있다”라며 "한국과 대만의 입장은 반도체 공급망에서 '특권적 위치'를 반영한 것이며, 베트남은 중국으로부터의 무역 재편으로 혜택을 받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는 444억 달러로 어느 나라보다도 큰 흑자를 기록했으며, 자동차 수출이 전체 대미 수출의 거의 30%를 차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1분기 대만의 대미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57.9% 증가한 246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정보기술 및 시청각 제품이 가장 큰 수출 증가세를 보였다.

한편, 1월부터 9월까지 베트남의 대미 무역 흑자는 900억 달러에 달했다.

골드만삭스는 인도와 일본도 대미 무역 흑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일본의 흑자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고 인도는 최근 몇 년 동안 완만하게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틸튼은 앞으로 이러한 아시아 무역 파트너들은 가능한 경우 수입을 미국으로 전환하는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이러한 흑자를 줄이고 관심을 돌리려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바클레이즈 은행의 애널리스트들은 금요일자 메모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대통령 재임 기간에 신흥 아시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는 무역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AP/연합뉴스 제공]

브라이언 탄이 이끄는 이 은행의 경제학자들은 트럼프가 제안한 관세는 이 지역의 개방 경제에 더 큰 고통을 줄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대만은 한국이나 싱가포르보다 그 위협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다고 썼다.

이어 “우리는 태국과 말레이시아가 그 중간에 있으며 태국이 약간 더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덧붙였다.

미국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의 대중 무역 적자는 2016년 3,468억 3,000만 달러에서 2023년 2,791억 1,000만 달러로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목요일 인도네시아의 전 무역부 장관인 마리 판게스투는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관세가 시행된 후 중국과의 무역이 감소했지만 대신 베트남, 멕시코, 인도네시아, 대만과 같은 제3국으로 무역량이 이동했다고 말했다.

마리 판게스투는 트럼프의 대선 승리가 발표된 후 싱가포르에서 열린 FT 원자재 아시아 서밋에서 “하지만 공급망을 살펴보면 실제로 대부분의 부품은 여전히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다. 우리는 이를 공급망 연장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트럼프 2.0에서는 두 가지 일이 일어날 것이다. 트럼프는 [무역]이 여전히 중국으로 향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것은 보호를 강화할 것이다. 중국뿐만 아니라 미국과 양자 간 무역 적자가 있는 국가들에 대한 보호가 강화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골드만삭스는 관세와 관계없이 특정 공급망을 중국에서 동남아시아, 인도 또는 멕시코로 이전하라는 압력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모든 수입품에 10%에서 20%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60%에서 10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골드만삭스는 미국이 내년 상반기에 중국산 제품에 평균 2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