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필수 금융상식 A to Z] 액티브 주식형 펀드

액티브 주식형 펀드는 펀드 매니저가 주식 시장의 상황과 개별 주식의 특성을 분석하여 적극적으로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펀드를 의미한다.

시장 수익률(벤치마크)을 초과하는 성과를 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펀드 매니저가 직접 종목을 선택하고 투자 비율을 조정하며 시장 동향, 산업 분석, 기업 실적 등을 활용하여 투자 전략을 수립한다.

분석과 운용에 많은 비용이 들어감에 따라 수수료가 패시브 펀드보다 높다. 하지만 성공적으로 운용될 경우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미국 증시
[AFP/연합뉴스 제공]

액티브 주식형 펀드의 사례들을 정리했다.

▲미국의 액티브 펀드: 피델리티 투자(Fidelity Investments)

대표적으로 피델리티 투자 운용사가 있다.

대형 성장주에 집중 투자하며, 시장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투자 종목을 조정한다.

▲삼성 액티브 코리아 펀드

삼성자산운용이 운용사로 국내 주식 시장에서 특정 섹터나 기업의 잠재력을 분석해 투자한다.

투자는 반도체, 2차전지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군에 초점을 맞춘다.

▲글로벌 액티브 펀드

ARK Invest가 운용사로 기술 혁신 기업에 집중 투자하며, 테슬라(Tesla)와 같은 혁신 기업에 높은 비중으로 투자한다.

액티브 주식형 펀드는 시장 평균을 초과하는 수익을 올릴 가능성이 있다.

펀드 매니저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유연한 전략으로 특정 산업군이나 부문에 집중하여 투자가 가능하다.

다만 높은 수수료와 비용이 들며 시장 예측 실패 시 손실 가능성이 가능하며 위험 분산이 어려울 수 있다.

[Source: Conversation with chatGPT]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317898i

StatCounter - Free Web Tracker and Cou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