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 들어 소비심리가 소폭 반등했으나 계엄 전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1.2로, 지난해 12월보다 3.0p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23년 5월(3.0p)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이지만,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로 지수가 코로나19 팬데믹 때인 2020년 3월(-18.3p) 이후 최대 폭인 12.3p 하락한 데 비하면 소폭 반등이다.
한은은 이달 중 정치 불확실성 해소 기대감과 미국 신정부의 관세정책 완화 기대 등으로 CCSI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등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지수가 100보다 크면 소비자의 기대 심리가 장기평균(2003∼2024년)과 비교해 낙관적이라는 뜻이고,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지난해 12월과 비교해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 중 향후경기전망(65·+9p)이 눈에 띄게 상승했다.
생활형편전망(89) 3p, 가계수입전망(96) 2p, 소비지출전망(103) 1p, 취업기업전망(69)는 4p 각각 올랐다.
현재경기판단(51) 1p 하락했다. 현재생활형편(87·보합)은 지난해 12월과 같았다.
물가수준전망(151)은 전월 대비 1p 올랐다.
1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01로, 지난해 12월(103)보다 2p 하락해 장기 평균(107)을 6p 하회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 전환과 매매 감소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 지수는 지난해 9월 119로 2년 11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한 뒤 넉 달 연속으로 내렸다.
금리수준전망지수는 시중은행 가산금리 인하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12월보다 1p 내린 97을 기록했다.
지난 1년간의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은 3.3%로 전월과 동일했다.
향후 1년간의 물가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8%로 전월보다 0.1%p 하락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대를 유지한 가운데 내수 부진 우려가 고조되면서 물가 전망이 내림세를 나타냈다.
3년 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6%로 전월보다 0.1%p 하락했고, 5년 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6%로 전월과 동일했다.
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주요 품목의 응답 비중은 농축수산물(48.2%), 공공요금(44.2%), 석유류제품(42.4%) 순이었다.
전월에 비해서는 석유류제품(+4.3%p), 농축수산물(+2.9%p)의 응답 비중이 증가한 반면, 공공요금(-5.5%p) 비중은 감소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7~14일 전국 2천5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