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LG생활건강, AI 기반 화장품 효능 소재 개발

LG생활건강이 AI 모델을 활용해 ‘화장품 효능’ 소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러한 고효능 소재의 상용화 과정을 거쳐 이르면 내년부터 첨단 화장품 라인업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이번 고효능 소재를 개발한 것은 LG AI연구원으로, 최근 AI 모델을 활용한 공동 연구에서 화장품 소재의 용해도와 안정성을 개선한 것으로 알려졌다.

화장품 원료의 경우 물질 자체의 효과는 좋아도 용해도가 낮아 제품화가 어려웠는데, 이번 연구 성과를 토대로 최적의 효능 소재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특히 LG생활건강은 최근 주목받는 피부 건강 트렌드를 따라 고급 화장품 원료를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LG AI연구원 '엑사원 디스커버리' 로고 [LG생활건강 제공]
LG AI연구원 '엑사원 디스커버리' 로고 [LG생활건강 제공]

아울러 이번 연구는 화장품 효능 소재 개발 과정에서 분자 단계부터 전체 연구 공정을 AI가 설계했다.

기존 국내 화장품업계에서는 AI를 소재 개발에 활용하더라도 모델에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해 사람이 원료를 합성하고 그 소재를 분석할 때 AI를 사용해왔다.

LG AI연구원은 신물질 발굴 특화 AI 모델 ‘엑사원 디스커버리’를 활용했으며, 후보 물질을 발굴하는 데 하루의 시간이 걸렸다고 밝혔다.

반면 기존의 연구는 실험자가 경험과 논문에 의존해 제작하기에 평균 1년 10개월이 넘는 연구 기간이 필요했다.

LG생활건강은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 고효능 원료로 업그레이드하고 궁중 피부과학 럭셔리 브랜드 ‘더후’ 화장품에 이를 적용할 계획이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AI와 협업으로 피부 개선에 더욱 효과적인 혁신 제품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AI 기술을 적극 도입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과 기술력을 더욱 강화하겠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