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미국 전투 무인기 제작업체와 AI 자율비행 검증에 나선다.
KAI는 지난 5일 미국 기업 ‘쉴드AI’와 AI 기반 자율비행 소프트웨어 ‘하이브마인드 엔터프라이즈(HME)’ 사용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쉴드AI의 국내 독점 공급사인 AI 스타트업 ‘퀀텀에어로’와의 3자 협약이다.
HME는 드론을 비롯한 무인기 임무 수행을 위한 자율성 검증 소프트웨어이며, 지난 2018년부터 F-16 등에 적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차세대 공중전투체계 모형 [KAI 제공] 차세대 공중전투체계 모형 [KAI 제공]](https://images.jkn.co.kr/data/images/full/978066/kai.jpg?w=600)
차세대 공중전투체계 모형 [KAI 제공]
KAI는 향후 HME는 활용해 현재 개발 중인 AI 파일럿의 자율비행 능력을 테스트하고 다목적 무인기(AAP) 실증에 나설 방침이다.
또 이를 위해 엔지니어들을 쉴드 AI 본사에 파견해 다음 달부터 관련 교육을 이수하고 소프트웨어 활용 방안을 논의하게 된다.
KAI는 올해 AAP 축소기에 AI 파일럿을 탑재해 기본 항법 및 장애물 회피 비행, 표적인식 등을 실증하고 연내 출고 예정인 실제 AAP에 AI 파일럿을 탑재할 계획이다.
KAI 최낙선 AI·항전연구센터장은 "HME 등을 활용해 KAI가 자체 개발하는 AI 파일럿 기술을 빠르게 검증하고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