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소상공인 창업 후 폐업까지 평균 6.5년…수익성악화·매출부진 86.7%

폐업한 소상공인들은 창업 후 평균 6년 6개월간 영업하고 평균 1억원을 부채가 생긴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1월 21일부터 2월 18일까지 2021년 이후 노란우산 폐업공제금을 받은 폐업 소상공인 820개 사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한 결과 이들 소상공인의 창업 후 폐업까지의 영업 기간은 평균 6년 6개월로 집계됐다고 19일 밝혔다.

이 중 3년 미만의 단기 폐업자 비율은 39.9%로 나타났다.

폐업 사유로는 복수응답으로 수익성 악화·매출 부진이 86.7%로 가장 많았다.

중소기업중앙회
[중소기업중앙회 제공]

적성·가족 등 개인사정(28.7%), 신규 사업 창업·준비(26.0%), 임대 기간 만료나 행정처분 등 불가피한 사유(21.8%) 등이 뒤를 이었다.

수익성 악화· 매출 부진의 원인으로는 내수 부진에 따른 고객 감소(52.2%)와 인건비(49.4%)·물가 상승으로 인한 원재료비 부담 증가(46.0%), 임대료 등 고정비용 상승(44.6%) 등의 순으로 꼽았다.

숙박·음식점업은 복수응답 결과 배달앱·숙박앱 등 온라인플랫폼사의 수수료·광고비 부담(35.6%)이 평균(16.3%) 대비 높게 나타나 온라인플랫폼의 비용 부담에 큰 애로를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폐업을 결심한 시점 기준 부채액은 평균 1억236만원으로 조사됐으며 소요된 폐업 비용은 평균 2188만원이었다

세부 내용별로 보면 철거비 518만원, 원상복구 비용 379만원, 종업원 퇴직금 563만원, 세금 420만원 등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평균 부채액이 1억4441만원으로 숙박·음식점업(9046만원)의 1.5배를 웃돈다.

폐업 비용도 제조업이 3859만원으로 숙박·음식점업(1219만원)의 세 배 수준이다.

자영업자
[연합뉴스 제공]

폐업 절차에서 겪는 애로사항은 생계유지 방안 마련(31.1%)이 가장 많았고, 권리금 회수와 업체 양도(24.3%), 대출금 상환(22.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폐업 과정에서 노란우산 공제금이 도움이 됐다고 응답한 비율은 71.1%로 나타났고 응답자의 58.9%가 공제금을 생계비로 사용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78.2%는 희망리턴패키지, 새출발기금 등 정부 지원제도를 활용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폐업 시 가장 필요한 정부 정책으로는 대출금 상환 유예·이자 감면, 폐업 비용 지원, 진로 지원, 자영업자고용보험·노란우산공제 확대 등이 꼽혔다.

폐업 후 재창업을 하지 않은 응답자 중 59.3%는 동일 소득 수준이 예상될 때 취업을 선호한다고 대답했다.

폐업 이후 취업을 위해 필요한 정부 지원책으로 전직 장려금 확대(36.4%), 양질의 지역일자리 확보(27.2%), 취업알선·안내 강화(21.2%) 등으로 조사됐다.

성공적인 재창업을 위해 필요한 정부 지원책으로는 재창업자금 지원(44.5%), 채무조정(22.9%), 내수 활성화 정책(17.4%) 등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