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의 1분기 실적이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 혜택 등으로 흑자로 전환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6조 2650억 원과 영업이익 3747억 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특히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38.2% 증가한 수치이며, 지난해 4분기 영업손실 2255억 원을 냈으나 다시 흑자 전환했다.
실적이 반등할 수 있었던 핵심 계기는 AMPC 공제액으로, 1분기에 보전받은 약 4577억 원을 제외하면 830억 원의 영업손실이 예정됐다.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생산 물량 감소에도 견조한 주요 고객사 물량 출하와 환율 상승, 재료비 감축 및 비용 효율화 등이 기존보다 실적을 높였다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 오창 사업장 [LG에너지솔루션 제공] LG에너지솔루션 오창 사업장 [LG에너지솔루션 제공]](https://images.jkn.co.kr/data/images/full/978999/lg-lg.jpg?w=600)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증가했으나, 완성차 업체가 재고를 줄이는 정책을 시행하면서 전 분기와 비교하면 2.9% 감소했다.
향후 LG에너지솔루션은 대외 불확실성과 수요 둔화에 대응해 시설 투자 금액을 전년 대비 30% 이상 감축하고,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를 늘려 수익성을 방어한다는 방침이다.
또 생산시설 효율화를 위해 현재 건설 중인 미국 애리조나 ESS 공장 프로젝트를 중단, 미시간 공장을 단독 ESS 생산기지로 활용하게 된다.
이를 통해 최종적인 ESS 생산능력은 감소하지만, ESS 생산 시점은 1년 이상 단축했다.
한편 2분기에는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완성차 업체의 보수적인 재고 운영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일시적인 매출 감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LG에너지솔루션 이창실 CFO는 “북미 중심의 대외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수요 예측은 어렵지만, 2분기 조기 가동 예정인 북미 ESS 생산 본격화와 유럽 신규 케미스트리 제품 양산으로 기회 요인을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