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정부 '경기 하방' 진단 美 관세에 '수출 둔화' 추가

정부가 우리 경제가 내수회복이 지연되고 취약 부문 고용 애로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로 수출 둔화 등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했다고 진단했다.

기획재정부는 16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5월호에서 이 같이 경기를 진단하며 글로벌 경제는 주요국 관세부과에 따른 통상환경 악화 등으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지속 및 교역·성장 둔화 우려된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1월부터 5개월 연속 '경기 하방 압력 증가' 판단을 이어가고 있으며 여기에 '수출 둔화'라는 표현이 추가됐다.

3월 산업활동 주요 지표는 생산 증가와 소비·투자 감소가 동시에 나타났다.

광공업 생산은 반도체 중심으로 전월보다 2.9% 증가했으나 소매 판매는 0.3%, 설비투자와 건설투자는 각각 0.9%, 2.7% 감소했다.

4월 수출은 전년 동월보다 3.7% 늘며 3개월 연속 증가했으나 일평균 수출액은 0.7% 감소했다.

소비자심리지수(CSI)와 기업경기실사지수(CBSI)는 각각 93.8, 87.9로 각각 0.4p, 1.2p 상승했으나, 기준선(100)을 밑돌았다.

고용 지표는 다소 개선됐으며 물가는 상승폭을 유지했다.

4월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19만4천명 증가했으며, 실업률은 2.9%로 0.1%p 하락했다.

고용률은 63.2%로 전년 4월과 비교해 0.2%p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연합뉴스 제공]

제조업·건설업 등 취업자가 크게 감소했으며 청년층의 고용률과 실업률도 모두 악화했다.

4월 소비자 물가는 농산물 하락 폭 확대와 석유류 하락 전환에도 축·수산물 상승 폭 확대의 영향으로 작년 4월 대비 2.1% 상승했다.

석유류 물가는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전년 같은 달 대비 1.7% 하락했다.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2.1% 올랐다.

4월 중 주택시장은 매매가격 하락하고 전세가격은 보합을 유지했다.

3월 관리재정수지는 61조3천억원 적자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4조원 감소했다.

통합재정수지는 50조원은로 전년 같은 기간

기재부는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지원, 산업경쟁력 강화 등을 위한 13조8천억원 규모 필수추경 신속 집행 등 통상리스크 대응에 총력을 다하는 가운데, 일자리·건설·소상공인 지원 등 민생경제 회복 노력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