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영은 기자] 새누리당 대선주자 비박(非朴·비박근혜) 3인이 요구하고 있는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로의 경선룰 변경이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과 친박(親朴·친박근혜) 성향의 당 지도부의 반대로 인해 사실상 불가능해진 가운데 비박 3인도 "오픈프라이머리로의 경선 룰 개정 없이는 후보등록을 하지 않겠다"며 `경선불참' 의사를 고수하고 있어 새누리당 대선 경선무산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김문수 경기지사는 22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경선룰 변경을 반대하는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에 대해 "지금 대세론에 안주해 그야말로 상황 판단을 잘못하고 있다"하면서 오픈프라이머리로의 경선룰 변경 요구가 수용되지 않으면 경선에 참여할 생각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
정몽준 전 대표와 이재오 의원에 대해서도 "제가 직접 확인은 다 안 했지만 같은 식으로 생각하는 것 아니겠는가"라고 말했다.
실제 정 전 대표와 이 의원은 경선 룰 개정 없이는 후보등록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혀왔고, 그 기조에서 전혀 변함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은 경선완주 의사를 밝히고 있지만 비박주자 3인이 빠질 경우 경선 자체가 의미가 없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친박이 현행 경선 룰을 고수하고 비박이 경선에 불참할 경우 사실상 `박근혜 추대' 분위기로 흐를 것으로 전망된다.
여권 관계자는 이와 관련 "현 상황대로라면 친박과 비박간 접점을 찾기가 어려워 경선이 무산될 수도 있다"면서 "경선무산시 흥행부진 등 우려되는 측면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친박측이 불보듯 뻔히 보이는 흥행 실패를 각오하고서도 현행 경선룰을 고집하고 있는 것은 박 전 비대위원장이 대선후보가 되기만 하면 대선에서 이길 수 있다는 '박근혜 대세론'에 대한 확신이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대선에서 패배할 경우, 대세론에 파묻혀 타협 없이 자신들의 뜻만 고집하다 '최악의 악수'를 뒀다는 비판도 면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