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EU ‘알몸 투시기’두고 엇갈린 반응

여객기 탑승자 보안검색 강화 차원에서 이른바 '알몸 투시기'로 불리는 전신스캐너를 도입하는 문제를 두고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네덜란드, 영국, 독일, 이탈리아 등은 인권침해보다 항공안전이 우선이라며 전신스캐너 도입을 서두르는 반면, 스페인은 EU 차원에서 정책이 수립되기 전에는 전신스캐너를 도입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지난해부터 전신스캐너 도입을 추진해온 네덜란드 정부는 미국 행(行) 여객기 탑승자에 한해 전신스캐너를 의무적으로 운용할 계획이라며 스히폴국제공항에 현재 보유 중인 15대에 더해 60대의 전신스캐너를 추가로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3일에는 고든 브라운 영국 총리가 BBC 방송에 출연 "영국에서 모든 공항의 보안대책이 강화되며 영국을 경유하는 승객을 포함해 모든 승객들의 수하물에 대해 폭발물 탐지검색을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영국은 미국을 오가는 대서양 횡단 노선의 비중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이탈리아의 로베르토 마로니 내무장관도 같은 날 현지 신문 인터뷰를 통해 로마와 밀라노 공항에 알몸 투시기를 설치해 테러위험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항공편 승객들에 대해 검색을 실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EU 집행위원장을 지낸 바 있는 프랑코 프라티니 이탈리아 외무장관은 "테러범이 폭발물이 든 캡슐을 삼켜 여객기에 탑승해 '인간폭탄'을 자처하면 어떻게 하겠는가? 현재로서는 전신스캐너가 가장 신뢰할 장치"라고 주장했다.

독일에서도 전신스캐너가 도입될 수 있다고 밝혔다. 안네테 샤반 독일 교육 장관은 주간지 '빌트 암 존탁' 최신호에서 올해 하반기 공항에 알몸 투시기를 설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EU 이사회 순번의장국을 맡은 스페인은 인권침해 논란, 인체에 미치는 의학적 부작용 등이 해소되기 전까지 이를 도입할 계획이 없음을 나타냈다.

주무장관인 호세 블랑코 스페인 교통장관은 5일 "EU 차원의 합의가 도출되기 전에는 스페인은 전신스캐너를 도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분명해 밝혔다.

그러나 27개국이 공동체를 형성한 EU의 특성상 전신스캐너 도입은 당분간 EU차원의 정책으로 성립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미 지난 2008년 EU 집행위원회가 최신형 X-레이 검색기 도입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법안을 제안했다가 폐기된 바 있다.

한편, 전신스캐너 반대론자들은 신체부위가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알몸 투시영상이 인권을 침해하고, 스캐너에서 방출되는 방사선 또는 밀리미터파가 의학적으로 인체에 부작용을 미친다고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