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가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로 '미래인터넷'을 내놨다.
방통위는 오는 2020년까지 이를 새로운 국가적 먹거리로 집중 육성한다는 목표 아래 19일 '미래인터넷추진위원회'를 공식 출범하고, 첫 회의를 열어 '미래인터넷 추진전략(안)'을 논의했다.
미래인터넷은 현재 인터넷이 가지고 있는 구조적 한계를 해결하고 새로운 융합서비스와 다양한 단말을 수용할 수 있는 기술 및 서비스 모델이다. 미래인터넷 환경에서 이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개인의 특성 및 상황에 맞는 최적의 서비스를 끊임없이 제공받을 수 있다.
방통위 관계자는 "현 인터넷 체계는 40년 전 기술에서 출발한 태생적 한계로 인해 전송품질의 보장, 완벽한 이동성, 보안 및 미래 융합망구조 문제 등 많은 기술적 한계점을 내재하고 있다"며 "미래 서비스·단말·네트워크 등 모든 분야에서 기술력을 확보해 사회적 현안해결 및 신시장 창출을 통한 지속 가능한 녹색성장 동력으로 미래인터넷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실제로 선진 각국은 지난 2005년부터 현 인터넷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모델로 미래인터넷 연구에 수천억 원을 투자하는 등 적극 추진하고 있는 반면, 국내는 학계 중심 또는 연구개발(R&D) 중심으로 치우쳐 준비가 미흡하였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따라서 방통위는 이번에 발표된 미래인터넷 정책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IT인프라를 기반으로 미래 네트워크 사회를 준비하고 글로벌시장 주도권을 좌우할 인터넷의 새로운 10년을 선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번에 발표된 미래인터넷 추진전략(안)은 지난 7일 발표한 '10대 미래 서비스 전략'의 후속조치다.
특히 방통위는 이번 전략안에서 제시한 미래인터넷의 5대 핵심서비스 방향인 고품질 실감형(Realistic) 서비스, 지능형 스마트(Smart) 서비스, 이동성보장(Seamless) 서비스,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녹색(Green) 서비스, 믿고 신뢰할 수 있는(Trusty) 서비스 등은 기존 네트워크 위주 정책방향에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콘텐츠까지 포함하는 새로운 정책패러다임을 제시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방통위는 다양한 정책의견 수렴을 위해 '미래인터넷추진위원회' 회의를 수시로 개최하고 오는 8월까지 미래인터넷 종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수립된 종합계획(안)에 대해 전문가 간담회 개최, 관계기관 협의, 국정 추진 관련 위원회 보고 및 대국민 공청회를 거쳐 최종 확정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