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서 일상 생활을 하던 수십만명을 혼돈에 빠뜨린 KT 서울 아현지사 통신구 화재 사고 이후 열흘이 지났다.
그러나, 일부 동케이블에 기반한 유선전화 복구율이 60%에 불과한 상황이다. 광케이블의 경우, 통신구 밖에서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복구했으나, 동케이블은 통신구 내부 작업이 필요해 여전히 복구가 진행 중이다. 이로 인해, 동케이블과 연결된 카드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일부 소상공인들이 여전히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영업 손실 등 2차 피해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소상공인연합회 등 일부 자영업자들은 KT가 내놓은 요금 감면으로는 미흡하며 영업 피해에 따른 2차 피해 보상을 요구하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200여건의 피해가 접수됐고 피해금액은 적게는 50만원에서 수백만원에 달한다. 화재 발생 후 4-5일간 인터넷이 안 됐고 예약 전화나 주문 전화를 받는 업종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고 호소했다. KT의 대책이 미흡할 경우, KT 회선 해지 등 KT 불매 운동에 나서겠다고 경고한 상태다.
비판적 언급이 계속해 이어지고 있다. 황창규 KT 회장은 보상 문제를 반복해 말하고 있을 뿐, 회사의 책임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오성목 KT 네트워크 부문 사장은 변명으로 일관하고 있다.
경찰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수사하고 있다"라고 했다. 서대문경찰서는 방화나 실화 가능성은 낮다고 봤다. 외부 방화 가능성이 낮다고 봤으나 현재, "나머지 여러 가능성에 대해 확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립과학수사연구소의 감정 결과는 한달 뒤 나온다.
황 회장은 문책 부분에서 엮이길 바라고 있지 않을 것이다. 회사 책임이 아니길 바랄 것이다. 이 같은 결과를 기대하고 있을 것이다.
화재가 일어날 지하 통신구에 스프링클러, CCTV가 한 대도 없었다고 한다. 이에 대해 의문이 있는 상태다. 총 5층인 해당 건물의 지상 곳곳에는 스프링클러가 있었다. 그러나, 광케이블 220조, 동케이블 16만8000회선이 뭉쳐 있는 통신구에는 없었다. 또 CCTV가 없었다. 이 때문에 원인 규명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또한 KT 아현지사는 정부가 직접 관리해야 할 C등급 이상 수준의 중요 기간시설이었다. 그러나, 자체 관리하면 되는 D등급으로 하향 분류 돼 있었다. 등급 기준과 관련, 황 회장은 "정부에서 정해준다"고 말하며 책임을 떠넘겼다. 그러나, 이와 관련해 등급 지정에 필요한 관련 정보를 모두 KT가 가지고 있고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KT가 비용절감을 위해 해당 빌딩으로 주변 지역의 장치와 기능을 통합, C등급 이상으로 만들어놓고 D등급으로 신고한 것이 아닌지에 대한 의혹 제기에 대해서도 경찰은 조사한다는 계획이다.
항상 사고 이후 집중되야 하는건 원인 그리고 재발 방지다. 화재 사고와 관련해 KT가 의혹을 사고 있는 것들이 있다. 이에 대한 원인이 밝혀져야 할 것이고 KT의 책임이 드러난다면, 문책이 있어야만 한다. 책임을 떠넘기는 자세에서 더욱 그런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