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K-99 검증위원회의 재현실험에서도 초전도 특성이 나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과학저널 네이처 보도를 뒷받침하는 결과인 셈이다.
31일 한국초전도저온학회 LK-99 검증위원회는 'LK-99' 재현실험을 진행한 국내 연구기관 네 곳에서 초전도 특성을 보여주는 사례는 나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LK-99 검증위에 따르면, 먼저 한양대 고압연구소가 만든 샘플은 LK-99와 조성 및 특성이 비슷했다. 저항이 급격히 변하지만 고유저항(저항율)이 부도체에 가깝고 자화율도 초전도체와 다른 특성을 보였다.
서울대 복합물질상태연구단의 샘플은 LK-99와 다소 다른 결정구조를 가지고, 저항율이 온도가 내려가면서 5~10배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또 자화율 측정에서는 약한 반자성 특성이 나타났다.
부산대 양자물질연구실은 합성된 전구체 조성비율을 달리해서 두 종류의 샘플을 만들었다. 첫 샘플은 저온에서 저항이 증가하는 반도체 성질을 보였으며, 두 번째 샘플은 추가 측정을 진행 중이다.
마지막으로 포항공대 연구팀은 LK-99 단결정을 만드는 별도 공정을 택했으며, 부도체 특성이 나타났다.

이와 관련, LK-99 검증위는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에서 발표한 결과와 일치한다고 했다.
지난 17일 네이처 보도에 따르면, 독일 슈투트가르트 막스플랑크 고체연구소 연구팀은 LK-99 단결정은 초전도체가 아니라 오히려 절연체임을 밝혀냈다. 약간의 강자성과 반자성을 나타내지만, 자석 위에서 뜰 정도는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LK-99 검증위에 따르면 현재 재현실험연구를 진행 중인 기관은 총 여덟 곳이다. 검증위는 여러 연구기관이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한 많은 샘플을 재현해 측정하는 것이 결론 도출에 도움이 된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