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혼자 사는게 낫다' 20대 여성 27%만 결혼 긍정

최근 10여년간 20∼30대 청년들의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남성보다 여성이, 30대보다 20대에서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비율이 더 낮았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3'에 따르면 지난해 조사에서 결혼에 대한 생각을 묻는 말에 '반드시 해야 한다' 또는 '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비율은 20대 여성에서 27.5%로 집계됐다.

2008년 52.9%에서 14년 사이 25.4%포인트 줄어든 것이다.

30대 여성도 같은 기간 51.5%에서 31.8%로 19.7%포인트 감소했다.

남성 청년의 경우 2008년 70% 안팎이었는데 같은 기간 30대는 48.7%로, 20대는 41.9%로 줄었다.

20대 여성 10명 중 2.7명만이, 20대 남성 10명 중 4.2명이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셈이다.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연령이 증가할 수록 높았으며 남녀 모두 30대 보다 20대의 감소폭이 컸다.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보면 30대 남성은 21%, 여성 19.7%, 20대 남성은 30%, 여성은 25.4%로 나타났다.

결혼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결혼자금 부족'이 모든 연령층에서 가장 많았다. 특히 20대에서 32.7%, 30대에서 33.7%를 차지했다.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는 응답도 20대에서 19.3%, 30대에서 14.2%를 차지해 뒤를 이었다.

20대 출산 결정시 중요 고려사항으로 경제적 여건이 5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배우자의 육아분담', ‘보육/양육 서비스 이용’도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다.

20∼30대의 혼자 사는 삶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꾸준히 증가해왔다.

독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2015년 39.1%에서 2020년 47.7%로 증가했다. 청년층 절반은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사는 것에 동의한다는 의미다.

결혼
[연합뉴스 제공]

▲ 청년 59.7% 부모와 산다

청년의 절반 이상은 부모와 함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9∼34세 청년의 가구 유형 가운데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 청년가구가 59.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청년 독거가구(25.4%), 청년 부부가구(8.1%), 청년과 자녀 가구(6.8%) 순으로 뒤를 이었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의 부모 동거가구(미혼) 비율이 32.8%로 광역시(12.1%), 광역도(14.8%)보다 높았다.

혼자 사는 청년 독거가구의 경우 40∼50%가 연립 다세대에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 사는 청년 독거가구의 경우 오피스텔 거주 비율도 32.4%로 높은 수준이었다.

반지하·지하·옥상의 거주 비율은 수도권 거주 청년 독거가구에서 3.24%로 가장 높았다.

청년독거가구의 주거환경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으나,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만족도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청년독거가구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청년들이 꼽은 가장 필요한 주거정책은 전세자금과 주택구입자금 대출, 주거비 지원 등 금전적인 지원이 8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청년부부 및 청년‧자녀 가구는 주택구입자금 대출이 50% 이상으로 높으며, 독거 및 부모동거 청년은 주거비 지원과 공공임대 입주가 상대적으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