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위성 통신 가족사 KT SAT와의 협력을 통해 고도 3만 5800km의 ‘무궁화위성 6호’와 지상을 5G NTN 표준 통신으로 연동하는 데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정지궤도 위성에 5G NTN 기술이 적용된 세계최초의 사례로, 이날 연동 테스트에는 독일 통신기업 ‘로데슈바르즈 코리아’와 미국의 ‘비아비솔루션즈 코리아’가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5G NTN이란 위성을 기반으로 5G 서비스 범위를 극단적으로 확장해 항공기와 산악지역·해상 등의 영역에 통신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또 기존 5G 네트워크와 커버리지 연동이 쉬워 끊김 없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위성 통신의 핵심기술은 긴 거리로 발생되는 지연시간과 위성 이동으로 인한 주파수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으로, KT는 이번 테스트를 통해 두 오차를 정확하게 보정하는 기술을 구현했다고 밝혔다.
![KT의 5G NTN 위성 통신 기술 테스트 [KT 제공] KT의 5G NTN 위성 통신 기술 테스트 [KT 제공]](https://images.jkn.co.kr/data/images/full/975104/kt-5g-ntn-kt.jpg?w=600)
KT는 5G NTN이 비즈니스를 비롯해 다양한 사람과 사물을 연결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또 현재 5G NTN을 활용해 지상의 5G 네트워크를 일부 대체하는 작업이 진행 중으로, 표준이 완성되면 이 역시 기술 검증 작업을 이어가게 된다.
향후 KT는 정지궤도 위성 외에도 중궤도·저궤도 위성, 성층권 통신 플랫폼(HAPS) 등 다양한 통신 인프라와 연동되는 NTN 기술을 개발할 방침이다.
로데슈바르즈코리아 김태훈 대표는 “NTN은 5G 및 미래의 6G 핵심기술로서, 위성을 활용하여 지상의 통신 네트워크를 해상과 공중 등 다양한 공간으로 확장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아비솔루션스코리아 서범석 사장은 “이번 기술 검증은 저궤도 5G NTN 서비스를 증명했을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6G의 광대역·초연결·저지연 서비스에도 가능성을 보였다”라고 강조했다.
KT 이종식 상무는 "6G 시대에는 지상이라는 한계를 넘어 3차원 항공 영역까지 통신 커버리지가 확장되어 진정한 유비쿼터스 통신 시대가 열릴 것이다"라는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