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환 금융위원장은 7일 5대 금융지주와 정책금융기관들을 소집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와 관련, 현장에서 거래 기업들의 상황과 영향을 밀착 점검하고 필요한 자금공급과 지원이 적시에 이뤄질 수 있도록 챙겨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함께 KB·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금융지주 회장, 은행연합회장, 금융투자협회장, 산업은행 회장, 기업은행장,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예금보험공사 사장, 한국거래소 이사장, 증권금융 사장 등 관계기관을 소집해 금융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하고 금융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지난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국내외 경제·산업과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다음 정부 출범까지 남은 2개월간 우리 경제와 금융시장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게 중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럴 때일수록 금융이 그 본연의 기능을 보다 충실히 해 시장안정을 유지하고 금융 중개가 차질 없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면서 "금융지주사와 정책금융기관들이 중심이 돼 금융시장 안정과 함께 기업 등 실물 부문 자금 지원에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미국 상호관세 부과로 인해 직접 영향을 받는 수출기업은 물론, 협력업체들의 경영이 어려워질 것으로 우려된다"면서 필요한 자금 공급과 지원이 적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별히 챙겨줄 것을 당부했다.
그러면서 "금융당국도 시장 상황에 따라 유동성 공급 등 필요한 조처가 언제든 취해질 수 있도록 약 100조원 규모의 시장안정프로그램 준비와 집행에 만전을 기하고, 기존 정책들과 현재 추진 중인 정책들이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금융당국은 통상전쟁에 대응하고 우리 경제의 지속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추진 중인 50조원 규모의 첨단전략산업기금 조성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