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아랍에미리트(UAE)에 이어 터키 시놉 원전을 수주하는데 사실상 성공, 글로벌 원전강국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과 타네르 이을드즈 터키 에너지·천연자원부 장관은 15일 한-터키 정상회담에 이어 양국 대통령이 지켜보는 가운데 터키 원전사업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터키 원전 건설의 수의계약을 위한 MOU로, 협상이 순조로울 경우 내년 말쯤 터키에 최대 4기의 원전을 수출할 수 있다.
이는 지난 3월 사업자인 KEPCO(한국전력공사)와 터키 국영발전회사 사이에 이뤄진 공동선언에 이어 양국 정부가 처음으로 공식적인 협력의지를 밝힌 것이기에 사업추진이 더욱 탄력을 받게 됐다.
이번 MOU는 터키 시놉 원전사업에 대한 양국 정부의 포괄적 협력을 담고 있다.
주요 협력 내용은 ▲원전의 위치와 규모·사업 방식 등에 관한 기본적인 규정과 정부의 지원내용을 담게 될 정부간 협약(IGA·Intergovernmental Agreement) 협상 ▲시놉 원전 건설을 위한 사전준비·계획 수립 지원 및 교육훈련 ▲ 인력개발 지원 등에 관한 사항이다.
이는 사업자간 협력에서 정부간 협력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적시함으로써 양국 간 원전사업에 대한 밀접한 관계를 구축해 다른 경쟁국가가 쉽사리 틈새를 치고 들어올 가능성이 줄어들었음을 의미한다.
김영학 지경부 2차관은 "시놉 원전사업은 터키 에너지·천연자원부가 사실상 주도하기 때문에 양국 정부간 MOU 체결의 의미는 매우 크다"며 터키 시놉 원전 수주가 가시권에 들어왔음을 내비쳤다.
더구나 시놉 원전 건설은 수의계약 형식으로 진행돼 한국 외에 경쟁자가 없는 상황이므로 건설자금 조달 등이 해결된다면 수주 가능성은 큰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경부 관계자는 "이번 정부간 MOU 체결은 초기 협력 단계여서 본계약이 성사되기까지 넘어야 할 산은 많다"면서 "사업범위와 파이낸싱 등을 구체화하는 작업은 지금부터 시작"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터키 국영발전회사와 한전이 구성한 태스크포스팀은 원전 사고 발생시 처리와 폐기물 처리 문제, 터키의 관련 법령 검토, 재원 조달 등 새로운 원전 건설에 대한 공동 연구를 진행중이다.
8월 공동연구 마무리 후 연말이나 내년 초 구속력을 갖춘 '정부간 협약'으로 사실상 원전 수주를 확정하게 되며, 이르면 내년 말쯤 원전 건설 착수를 뜻하는 '상업적 계약'을 체결하게 된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터키와의 협상이 잘 끝난다면 한국은 두 번째로 원전수출에 성공하면서 세계 원전시장에서 초년병이 아닌 기간병으로 위상이 달라질 것"이라면서 "3, 4번째 수출에서도 유리한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고 평가했다.
청와대는 UAE에 수출한 원전과 같은 1,400메가와트급 한국형 원전 APR-1400 2기를 터키에 수출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총 수주 금액은 100억 달러 수준이 될 전망이다. 1차 원전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된다면 2단계의 2기 수주전에서 훨씬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 있을 전망이다.
원전 건설 재원은 터키측이 60%, 우리측이 40%의 지분을 가진 회사에서 전기를 생산하면 터키 정부가 구매를 보장하는 형식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적극적 원전 수주 움직임에 대한 미국·일본·프랑스 등 원전선진국들의 견제 및 재원조달과 인력확보 등에 대한 해결이 문제제기되고 있다.
UAE는 자국이 자금을 모두 부담하는 '턴키(일괄수주) 방식'이었지만, 터키 원전사업은 우리나라가 상당 규모의 지분에 참여하고 파이낸싱에도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구조다. 이에 정부간 협력을 통해 최대한 조달비용을 낮춰야 한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 건설 중인 원전 8기와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수주한 4기, 터키 원전 수주 성공 시 건설하게 될 2기를 포함하면 14기가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다.
이에 한 전문가는 "우리나라의 원전기술이 가격 경쟁력 및 기술능력을 갖추고 있지만 원전 수주와 관리에 필요한 인력이 모자르다"며 "국내 원전에 투입할 인력도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해외 원전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게 됐으니 앞으로 인력 수요가 끊임없이 생길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