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와 함께 시장금리가 떨어지자 5대 시중은행들이 예금금리를 내리고 있다.
가산금리를 포함한 대출금리의 경우 여전히 가계대출 관리 등의 이유로 시장금리 하락 폭만큼 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결국 예대 금리차(대출금리-예금금리)가 더 벌어지고 있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이날부터 대표 수신(예금) 상품인 'KB스타 정기예금'의 최고금리(만기 1년 기준·우대금리 포함)를 기존 연 3.00%에서 2.95%로 낮추기로 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KB국민은행 내부 시계열 기록을 보면, 이 상품의 최고금리가 2%대였던 마지막 시점은 2022년 7월 10일이었다.
이후 3%대로 올라섰다가 약 2년 7개월 만에 2%대로 내려왔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캡쳐]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캡쳐]](https://images.jkn.co.kr/data/images/full/977609/image.jpg?w=560)
신한은행 역시 20일 대표 수신 상품 '쏠편한 정기예금'의 최고금리(1년만기 기준·우대금리 포함)를 연 3.00%에서 2.95%로 0.05%p 인하했다.
신한은행 내부 시계열에서도 해당 상품의 2%대 최고금리는 2022년 6월 이후 2년 8개월 만에 처음이다.
SC제일은행은 지난 17일부터 네 가지 거치식예금(정기예금) 금리를 최대 0.50%p 낮췄고, 하나은행도 14일 '하나의 정기예금'·'고단위플러스 정기예금'·'정기예금' 등 3개 상품의 12∼60개월 만기 기본 금리를 0.20%p씩 하향 조정했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공시된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24일 기준 대표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1년만기 기준)는 연 2.69∼3.21% 수준이다.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2.95%)이 지난 20일 2%대로 가장 먼저 내려왔고, 이날 KB국민은행의 'KB스타 정기예금'도 2%대로 들어섰다.
한은의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작년 12월 신규 취급액 기준 대출 금리와 저축성 수신 금리의 차이, 즉 예대금리차는 1.43%p로 전월(1.41%p)보다 0.02%p 커졌다.
4개월 연속 확대로, 예금 금리 하락 폭이 대출 금리보다 크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