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8대 주력 수출품목의 대(對) 중국 기술격차가 평균 3.9년에 불과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0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민간·국책 연구소의 경제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중국과의 기술격차가 반도체(4.8년)와 자동차(4.7년)를 제외한 6대 수출품목의 기술격차는 4년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과의 기술격차가 가장 작은 산업은 철강(3.3년), 화학(3.3년), 선박(3.6년), 무선통신기기(3.6년) 등이었다.
경제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8대 수출품목의 현재 글로벌 경쟁력을 10점 만점에 8.5점으로 봤으나, 5년 뒤에는 8.2점으로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선박의 경우 현재 9.7점에서 5년 뒤 8.7점으로 비교적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중국 조선산업이 정부 지원으로 급속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주력 수출품목의 기회 요인으로는 전문가들의 40.9%가‘기술과 품질 우위’를 꼽았고, 22.4%는 ‘세계경기 회복과 신흥국 성장에 따른 세계시장 확대’, 21.8%는 ‘가격경쟁력’을 들었다.
한편, 전문가들은 중국 위안화 절상이 우리나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위안화 절상에 따라 대중국 수출이 증가하고, 조선·철강 등 국내 수출품목과 경쟁이 심한 산업에서 반사이익이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