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부산 북구가 노동집약형 지식산업센터 설립을 두고 대구, 광주 등과 경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부산 북구는 장애인, 고령자 등 취약계층 비율이 높고 지역내 산업기반시설이 전무해 지식산업센터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지식산업센터는 저소득층이 거주하는 지역에 설립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저렴한 임대료로 영세기업의 사업공간을 빌려주는 노동집약적 산업단지다.
18일 북구에 따르면, 산업시설이 전무한 부산 북구에 노동집약형 지식산업센터 설립이 추진되고 있다. 금곡동 812번지 일대 옛 조달청 부지 가운데 9천900㎡에 지하2층, 지상8층 규모의 저소득층 일자리 창출 아파트형 공장인 지식산업센터 설립을 위한 제1종지구단위계획 변경(공공청사→도시형공장)이 추진되고 있는 것이다.
국비 90%, 시비 10%(사업비 324억원)의 사실상 국책사업인 지식산업센터는 지난 2009년 허태열 국회의원(북ㆍ강서 을)이 고위당정협의회에서 처음으로 제안한 이후 지난해 중소기업청의 1차 선정작업과 산업연구원의 사업타당성 용역을 거쳐 부산 북구를 포함해 광주 동구와 대구 북구 등 3개 지자체가 우선대상지로 선정됐다.
최종선정을 위해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경제타당성 분석에서 비용과 편익(B/C) 부문 등에서 좋은 점수를 얻는 것이 관건이다.
일단 북구와 함께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중소기업청은 해당 부지가 조달청 공공청사여서 매입지가 저렴하고 간선도로에 인접해 접근성이 용이하며 정방형 평지에 위치해 공사비도 절감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워 현재 50%로 책정된 B/C분석 비율을 높여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지식산업센터 부지선정은 부산 북구와 광주 동구, 대구 북구에 대한 KDI의 경제타당성 분석을 바탕으로 기획재정부가 다음달 최종결론을 내릴 예정이다.
북구는 지식산업센터가 들어서면 인근 사상ㆍ양산공단과 연계해 중소기업, 영세기업에 저렴한 임대사업장을 제공, 지역 고용창출을 높이고 새로운 경제발전 동력을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북구 관계자는 "지식산업센터에 대한 세제 혜택 등 행정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며 "우선 경제타당성 분석에서 좋은 평가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