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삼성전자 불산 외부 유출 은폐하려 CCTV 비공개… 거짓 해명까지

[재경일보 이영진 기자] 삼성전자가 화성사업장 화학물질 탱크룸 내부 CCTV를 끝까지 공개하지 않은 것은 불산가스 외부누출 사실을 은폐하기 위한 것이라는 의혹이 짙어지고 있다.

또 비판을 받아 온 사고 이후 어설픈 사고처리도 외부누출 사실만큼은 감추려 한 의도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경찰의 CCTV 분석 결과, "외부 누출이 없었다", "경황이 없어 늦게 신고했다"는 해명도 모두 거짓인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경찰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오전 6시께 삼성전자와 협력업체 STI서비스 직원 등 3~4명이 대형 송풍기를 틀어 중앙화학물질공급시스템(CCSS) 탱크룸 내 불산 가스를 외부로 빼낸 사실이 경찰조사 과정에서 드러났다.

불산가스 누출 사고 이후 삼성전자는 취재진 질문에 "탱크룸 내 누출된 불산가스는 모두 처리시설로 모아져 처리됐다"며 외부 누출은 '결코' 없었다고 해명했고, 주민설명회에서도 삼성은 "외부 누출은 없다"고 재차 강조했지만 거짓이었던 셈이다.

또 경찰 조사 결과 등은 삼성전자가 불산가스를 의도적으로 탱크룸 밖으로 빼내 내부를 정화시키면서도 당시 근무 중이던 직원들에게 아무런 대피통보도 하지 않았음을 밝혀냈다.

결국, 화성사업장 반경 2㎞ 내 동탄신도시에 주민 수 만명이 거주하고 있는데도, 불산가스가 외부에 유출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은밀하게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삼성전자측에서 '일부러', '고의적으로' 불산가스를 외부로 유출한 셈이다.

불산가스 외부 누출사실이 드러나면서 삼성전자가 그간 언론에 공표한 내용이 앞뒤가 맞지 않았던 이유도 명확하게 정리가 되게 됐다.

삼성전자가 송풍기로 불산가스를 외부에 누출시킨 뒤 관계당국에 처음 신고한 시각은 무려 9시간여 뒤인 오후 2시 40분께였는데, 신고 직후 환경관련 기관에서 외부 누출여부를 조사할 것이 뻔한 상황에서 의도적으로 시간을 끌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대목이다.

그간 "경황이 없어 신고를 늦게 했다"는 해명은 의도적인 외부 누출을 감추기 위한 의혹을 희석시키기에 불충분하다.

또 불산 누출량을 "탱크 아래 밸브에 약간 묻어날 정도"라고 한 것도 탱크룸 안에 가득찼던 불산가스를 밖으로 빼낸 사실과 상당한 차이가 있다.

당시 작업자들도 "임시로 막아놓은 비닐봉투에 불산용액이 가득 차 흐를 정도로 누출됐고, 탱크룸 안은 불산가스로 뿌옇게 돼 앞이 안 보일 정도였다"고 증언하고 있다.

이 밖에도 불산가스 누출 수습 과정과 관련해서도 삼성전자의 은폐 시도가 계속됐다.

삼성전자는 "CCTV분석 결과, (숨진 작업자) 박모(34) 씨가 방재복을 입지 않고 작업했다"고 언론에 발표하기도 했지만, 그가 1차 보수작업(28일 00:13∼03:21)이나 3차 보수작업(04:45∼07:45) 때 무려 6시간 동안 방재·보호장구를 착용한 사실은 감췄다.

단 8분간 진행된 2차 작업에서 박씨가 마스크만 끼고 탱크룸에 들어간 사실을 알려 산재사고를 박씨 개인 실수로 몬 것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또 삼성전자는 사고 뒤 취재진에 "내부 촬영은 1차 허가하되 CCTV자료는 줄 수 없다"고 못박았다.

당시 앞뒤가 맞지 않는 브리핑이라는 비난에 쏟아졌으나 삼성전자는 언론의 뭇매를 맞으면서도 CCTV 공개는 끝내 거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