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영진 기자] 박원순 서울시장의 공약사업으로 지난해 5월부터 운영되어 온 서울 25개 자치구 가계부채종합상담센터와 재무상담창구가 투입한 예산에 비해 상담실적이 미진하다는 이유로 9개월 만에 모두 문을 닫는다.
시는 가계부채종합상담센터 대신 금융복지상담센터 10곳을 늘린다는 계획이지만, 기존 센터에서 일하는 재무상담사들은 시의 결정에 객관성이 없다면서 반발하고 있다.
18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시는 가계부채종합상담센터 25곳과 재무상담창구 17곳이 상담실적과 만족도가 저조하다고 판단, 오는 28일 자로 모두 폐쇄하기로 했다.
가계부채상담센터에는 지난해 7억100만원의 예산이 투입됐으며 상담실적은 4496건이었다. 인력은 총 25명으로, 주로 경영지도사나 국제공인재무설계사 등 자격을 소지한 은퇴자들이었다.
시는 "실적을 계산하면 상담사 1명이 하루 1∼2건을 상담하는 꼴이고, 하루 6시간 일하는데 1인당 연간 예산은 2800만원 가량으로 많은 편"이라며 "금융복지상담센터가 더 전문성이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재무상담사들은 평가 기준에 객관성이 없고 공론화 과정도 없이 9개월만에 정책을 폐기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탄원서를 통해 "부채탕감 위주의 상담과 복잡한 재무구조 개선 작업을 요하는 상담을 같은 기준으로 비교할 수 없다"며 "공정한 재평가를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대신 시가 늘리기로 한 자치구 가계부채상담센터와 비교된 금융복지상담센터 2곳의 인력은 총 11명으로 재무·복지상담사 등으로 구성돼 있다.
지난해 투입된 예산은 4억8000만원(1인당 4400만원), 실적은 1297건으로, 상담사 1명이 하루 8시간 근무하며 2∼3건을 담당한다.
한 재무상담사는 "금융복지상담센터는 파산 등 채무조정이 전체상담의 70%를 차지하지만 우리는 서민금융, 하우스푸어 상담, 경제교육 등 다원화돼 있다"며 "상담도 매달 늘어 작년 5월 96건에서 11월 1060건까지 늘었다"고 설명했다.
재무상담사 측은 지난해 9월 시장 주재로 열린 가계부채 관련 숙의에 금융복지상담센터에 파견되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단체 대표와 친한 시의원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것을 근거로 외부세력이 개입했다는 주장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는 "그것과는 상관없는 일"이라며 "워크숍을 통해 시의회 재정경제위원회에서도 폐쇄할 것을 결정했다"고 해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