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진수 기자] 52억원의 이자를 갚지 못해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태에 빠진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의 30개 출자사가 빌딩층수를 111층에서 80층으로 축소하는 등 사업계획 변경안 등 대책 마련에 나선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용산개발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는 15일 오전 10시 이사회를 열어 사업계획 변경안과 정상화 방안 등을 논의하기로 했다.
최대주주인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은 이날 오후 3시 민간 출자사들을 전원 소집해 사업계획 변경안을 제안할 방침이다.
코레일은 채무불이행 상태인 용산개발사업이 아직 파산 절차에 들어간 게 아닌 만큼 정상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부채비율이 182% 수준이지만 추가 대출을 받을 수 있는만큼 은행에서 저리의 자금을 조달해 사업을 계속해서 추진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코레일은 현재 긴급 자금을 수혈받아 우선 2조4000억원 규모의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과 자산유동화증권(ABS) 원리금을 갚고 용산 철도정비창 부지를 돌려받아 용산개발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다음달 21일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부지의 도시개발구역 지정이 자동 해제되면 코레일 주도로 새 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코레일이 계획하고 있는 사업계획 변경안은 부동산 경기침체 장기화 등을 감안해 사업성을 대폭 강화하는 방향으로 수정됐다.
먼저 111층 랜드마크 빌딩 등 초고층 빌딩의 층수를 80층 이하로 대폭 낮춰 건축비를 절감하고, 과잉공급 상태인 오피스와 상업시설 비중을 낮추는 대신 중소형 아파트를 늘리는 한편, 새 정부 주거복지 정책 방향에 맞게 임대주택 규모도 대폭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코레일은 민간 출자사들이 기득권을 포기하고 사업협약상 독소조항을 없애 사업성을 높인 변경안에 적극 참여하면 사업을 청산하지 않고 계속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코레일의 한 관계자는 "땅은 우리 소유인 만큼 철도공사법에 따라 직접 역세권개발을 추진할 수 있다"며 "분할해 일부를 매각하고 가치가 높은 땅에서는 직접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롯데관광개발 등 다른 출자사들이 기득권을 포기하고 코레일 계획대로 따라 줄지는 미지수다.
아울러 이날 이사회와 민간출자사들 회의에선 자산관리위탁회사(AMC)인 용산역세권개발㈜ 경영진에 부도 상황에 놓인 데 따른 책임을 묻는 방안도 논의될 것으로 전해졌다.
![대출](https://images.jkn.co.kr/data/images/full/973872/image.jpg?w=60&h=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