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영진 기자] 우리나라 국민의 3명 중 2명은 사회에 대해 불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 김동열 수석연구위원이 20일 내놓은 '한국 사회의 낮은 신뢰도'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20세 이상 성인남녀 1006명 중 68.6%는 '우리 정치·경제·사회가 투명하고 믿을 수 있느냐'는 질문에 '별로 그렇지 않다'(52.0%), '전혀 그렇지 않다'(16.6%) 등 부정적으로 응답했다.
이 비율은 40대(71.9%)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고, 20대(70.2%), 30대(68.1%), 50대 이상(64.6%)이 뒤를 이었다.
직업별로는 무직·퇴직자(73.9%), 자영업자(72.5%)에서 이 비율이 높았고, 지역별로는 호남(78.1%), 서울(76.0%)이 두드러졌다.
중산층 복원을 위해 시급한 정책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일자리 창출'(43.5%)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자녀 양육·교육비 부담'(21.1%), '고용안전망 확충'(13.2%) 등이 뒤를 이었다.
또 우리나라 경제시스템 중 개선이 시급한 분야로는 '수출·대기업 중심 경제'(32.4%)와 '관치경제'(27.2%)를 꼽았다.
복지재원 조달방안으로는 부자증세(46.1%)와 지하경제 양성화(30.5%)라는 응답이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창조경제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창의적 인재 양성'(38.2%)과 '연구개발 투자 확대'(35.8%)에 주력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조사는 이달 6~12일 진행됐으며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09%포인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