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7일 성남시청과 성남도시개발공사 등 대대적인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 1부(엄희준 부장검사)는 7일 오전 검사와 수사관을 동원해 '백현동 개발 의혹'과 관련해 성남시청, 성남도개공, 개발사업 시행사 및 토목시공업체 사무실 등 40여 곳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측근으로 알려진 김인섭 전 한국하우징기술 대표와 정모 아시아디벨로퍼 대표 주거지, 성남알앤디피에프브이 등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다.

이 사건은 이 대표 측근인 김 전 대표가 아시아디벨로퍼에 합류한 이후 백현동 일대 토지 용도를 '자연녹지'에서 '준주거'로 한 번에 4단계를 높이는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이다.
백현동 개발은 지방으로 이전한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옛 한국식품연구원 부지 11만1천265㎡에 아파트를 지은 사업이다. 15개동 1천233가구로 2021년 6월 입주를 시작했다.
이재명 대표가 성남시장이던 2015년 이 부지가 아시아디벨로퍼 등에 매각된 뒤 한꺼번에 4단계(자연녹지지역→준주거지역)나 뛰는 용도 변경이 이뤄졌다.
이 대표의 최측근인 정진상 전 대표실 정무조정실장과 김 전 대표가 백현동 개발사업이 추진되던 2014년 4월∼2015년 3월까지 1년간 총 115차례 통화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이날 압수수색 대상에는 구속된 정 전 실장의 구치소 수용거실도 포함됐다.
애초 전체 민간임대주택을 짓기로 한 계획도 바뀌어 2015년 11월 민간임대주택이 전체 가구 수의 10%인 123가구로 줄었고, 분양주택이 1천110가구로 대폭 늘어 역시 특혜 논란으로 이어졌다. 민간사업자는 이를 통해 3천억원 가량의 이익을 남긴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이 사건과 관련한 입건자는 이 대표와 정 전 실장,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사업에 관여한 성남시 공무원 3명 등 총 10명이다.
검찰은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자료들을 분석한 뒤 참고인과 주요 피의자를 차례로 소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