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 국회 본회의 표결에서 무더기 이탈표가 발생하면서 민주당 내 계파 갈등 양상이 며칠째 이어지고 있다.
이 대표 측은 당내 소통을 강화해 문제를 풀겠다고 하지만, 강성 비명(비이재명)계는 여전히 이 대표 사퇴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어 접점 모색이 쉽지 않아 보인다.
친명(친이재명)계는 아직도 격앙된 모습이다.
표결을 앞두고 체포동의안 부결 총의를 모을 때 아무 말이 없다가 무기명 투표에서 찬성표를 던진 것은 정직하지 못한 행위라는 것이다.
친명계는 비명계의 움직임이 조직적이었다고 의심하면서 결국은 내년 총선에서 자신들의 공천을 고려한 '반란'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김남국 의원은 2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비명계가 공천 때문에 가결 표를 던진 것인가'라는 물음에 "말하나 마나 한 이야기"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의원들은 공천에 대한 생각이 굉장할 정도로 크다"고 강조했다.
체포동의안에 찬성한 의원들과 함께하기 어렵다는 목소리와 함께 총선 공천에서 이들을 솎아내야 한다는 의견까지 나왔다.
김용민 의원은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당원과 지지자들이 공천하는 시스템을 강화해 그분들(체포동의안에 찬성한 비명계)을 심판할 길을 열어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비명계는 공천이 '이탈'의 원인이라는 친명계 주장을 반박했다.
조응천 의원은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거북살스러운 말씀"이라고 일축했다.
이어 "공천을 생각한다면 경선을 담당(관리)할 가능성이 큰 현 체제에 협조적인 게 더 편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비명계 목소리는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를 다루는 첫 공판이 열리는 3일을 기점으로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
이 대표는 2021년 12월 대선후보 당시 방송 인터뷰 등에서 성남시장 재직 중 고(故) 김문기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을 알지 못했다고 말해 허위 사실을 공표한 혐의를 받는다.
이 대표는 이날 하루 공식 일정을 잡지 않은 채 공판 출석을 준비하는 데 시간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비명계로서는 이런 상황들이 결국은 개인의 사법 리스크가 당에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는 논리로 이 대표의 사퇴를 계속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
한 비명계 의원은 통화에서 "이 대표가 소통하겠다고 했지만, 미봉책에 불과하다"며 "이 대표가 사퇴하지 않으면 현 문제는 계속 당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고 했다.
일각에서는 일부 비명계 의원이 이 대표가 사퇴하지 않는다면 공천 작업에서 핵심 역할을 맡는 사무총장을 비롯한 당직 일부를 달라고 했다는 '설'도 흘러나왔다.
이에 한 친명계 인사는 기소 시 당직을 정지하는 내용의 당헌 80조를 언급하며 "이는 사퇴 요구와 별반 다를 게 없다"고 비판했다.
'사무총장은 부정부패와 관련한 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당직자 직무를 기소와 동시에 정지하고 윤리심판원에 조사를 요청할 수 있다'는 조항에 따라 비명계 사무총장이 기소와 동시에 이 대표의 직무를 정지시킬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