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한경협 "하반기 경기회복세 지속, 업종별 경기는 편차"

-반도체·조선 호조

-자동차·석유화학·이자전지 혼조, 건설 부진

올해 하반기 경기 회복세는 지속되겠지만 업종별로 회복 편차는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0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콘퍼런스센터에서 '2024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세미나'를 열었다.

먼저 글로벌 경제 전망과 관련해 최상엽 연세대학교 교수는 "올해 세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는 3.4%로,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인플레이션은 안정화될 것으로 보이나 지정학적 분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국 대선 등 지정학적 이슈로 언제든지 다시 상승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2024년 하반기 주요 산업 전망 및 요인
2024년 하반기 주요 산업 전망 및 요인 [연합뉴스 제공]

최 교수는 "정책금리는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 인하될 것으로 전망한다"라면서도 "자산 시장의 지속된 랠리, 미국의 GDP 대비 부채 상승세를 고려할 때 중·장기 중립 금리의 향방은 확신하기 어렵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이미 시장에 정책금리 인하에 대한 강한 기대가 반영되어 있어 실제 인하가 이루어져도 자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이승석 한경협 한국경제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국내 경기 전망에 대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2.4%가 될 것"이라며 "반도체 수출 증가가 성장률 회복을 이끌겠지만 민간 소비가 미약한 회복세를 보여 추가 상승 여력을 제한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이 책임연구위원은 "향후 성장률은 민간 부채 연체율 급증, 중국 경제의 더딘 회복, 국지적 분쟁 확대 등으로 2.4%보다 낮아질 수 있어 긴장의 끈을 풀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전망했다.

▲ 올해 하반기 주요 산업 2强, 3中, 1弱 전망

주요 산업별로는 올해 하반기 반도체 및 전자·전기와 조선 산업은 호조가 예상됐지만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석유화학 및 석유제품, 이차전지 산업은 혼조 양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건설 산업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먼저 한경협은 올해 하반기 수출은 수요 확대와 가격 상승에 힘입어 작년 동기 대비 19.6%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 주력 제품인 메모리 반도체, 디스플레이 패널,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의 글로벌 수요 증가로 반도체(26.3%), 디스플레이(3.4%), 정보통신기기(12.5%)는 모두 하반기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조선 업계도 10여 년 만에 호실적을 보일 전망이다.

이는 원자재인 후판 가격 인상으로 신조선가도 상승함에 따라 고가 수주가 확대되고 있으며 외국인 노동자 투입 따른 인력 문제 해결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해군의 MRO(유지·보수·정비) 초과 수요가 나타나는 것도 한국 조선 업계에 긍정적인 시그널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글로벌 수요가 커진 탱커 발주를 대규모 생산능력을 보유한 중국이 장악하면서 한국의 관련 선박 수주 실적은 약세로 돌아섰다.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은 공급망 불안정, 온라인으로의 판매 방식 전환, 커넥티드카 등 첨단 기술과의 융합, 전기차 전환 등 시장 변동 요인이 산재해 전망이 불투명하다고 한경협은 예상했다.

수출
[연합뉴스 제공]

전 세계적인 탈탄소화로 전동화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만 저탄소·무탄소 차량의 수요는 중장기적으로 확대 추세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2030년에도 일본과 중동, 아프리카, 남미 등 지역별로 전기차 전환 속도가 더딘 시장이 존재해 글로벌 시장 전체로 볼 때 여전히 내연기관이 중추적 동력원으로 남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전기차·UAM(도심항공교통)·선박 등 다양한 수요 발생으로 시장의 성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성장 폭은 다소 조정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한국의 이차전지 시장 점유율은 23.1%로 큰 내수 시장을 가지고 있는 중국의 점유율 66.8%에 상당히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점유율이 압도적인 이차전지와 중국의 수요 침체와 설비 확장이 실적 부진을 이끈 석유화학은 중국 경제가 올해 하반기 회복 속도를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건설업은 올해 하반기 극적으로 반등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전반적인 건설 경기가 침체하면서 개별 사업의 수익성은 악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주택 시장의 수요 부진에 따라 지역별 양극화가 격화되는 것은 부정 요소다.

해외 건설 수주는 주요 업체를 중심으로 양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반등의 계기가 될 수 있다고 한경협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