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뉴욕증시 주간전망, 11조달러 녹인 트럼프 관세정책 결론은

5일(이하 미 동부시간) 다우존스 마켓 데이터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월17일 취임한 후, 뉴욕증시에 상장된 기업의 시가총액은 11조1000억달러 사라졌다.

지난 2거래일(3~4일)에만 역대 최대인 6조6000억달러가 증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기본·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벌어진 일이다.

뉴욕증시
[AFP/연합뉴스 제공]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번 주(7~11일)에도 뉴욕 주식시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최대 재료로 삼을 전망이다. 특히, 중국에 또다시 관세로 압박할지가 초미의 관심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미국의 관세를 보복관세로 받아칠 경우 더 강하게 대응할 것임을 밝힌 바 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도 지난 2일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보복 조치를 한다면 상황은 더욱 악화할 것이지만, 없다면 더는 올라가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그러나 중국은 미국산 상품에 대해 3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한다고 전날 발표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매긴 상호관세의 수준(34%)과 같다. 중국은 희토류 수출도 제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소식에 "중국은 잘못된 결정을 했다"면서 "그들이 감당할 수 없는 일"이라고 답했다.

프리덤 캐피털 마켓츠의 시장 전략가인 제이 우즈는 "미국이 반격한다면 경제 전체에 피해를 줄 수 있다"면서 "기술 분야만 아니라 우리를 경기 침체로 몰고, 우리가 아는 강세장을 끝내버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강공으로 일관한다면 전 세계는 경기침체 우려가 더욱 커지게 된다. JP모건은 이미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직후 세계 경제의 침체 가능성을 60%로 올려잡았다.

코헨 앤드 스티어스의 멀티에셋 솔루션의 책임자인 제프리 팔마는 "관세와 보복 관세의 끝은 어디일지, 어떻게 결론이 날지에 대해 모든 궁금증이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