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새 '레이노이드증후군'이 3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레이노이드증후군'은 손·발이 차가워지는 증상이 나타나 종종 '수족냉증'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이 병은 신경질환이나 갑상선기능저하, 혈관질환 등 다른 질병에 의해 2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70% 이상이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레이노이드증후군'은 손·발이 차고, 저리거나, 따끔거리는 것이 대표 증상이며 때로는 살을 에는 듯한 통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또 심한 경우에는 피부 조직이 궤사돼 손발을 절단해야 하는 경우까지 이르게 된다.
경희대 동서신의학병원 혈관센터 박호철 교수팀은 1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레이노이드증후군 환자가 2004년 6천 876명에서 2005년 9천156명, 2006년 1만497명, 2007년 1만2천479명, 2008년1만9천565명 등으로 5년 새 284%나 증가했다고 밝혔다.
성별로는 여성 환자가 3만 7584명으로 남성(2만 1110명)보다 28% 많았다.
이렇게 여성 감염율이 높은 이유는 초경, 임신과 출산, 폐경 등을 거치면서 겪는 급격한 호르몬 변화가 자율신경계와 혈관 수축·확장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또 설거지와 빨래 등 찬물에 많이 노출 되고, 짧은 치마나 배꼽티 등 하체를 차갑게 하는 것도 큰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의료진은 분석했다.
박호철 교수는 "초기에는 간단한 약물치료나 교감신경 절단수술 등으로 치료할 수 있지만 극히 일부는 치료 후에도 혈액공급이 잘 안 돼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따라서 손발이 차가워진 기간이 2년을 넘겼고, 손이 자주 저리면서 체온과 손·발의 온도차가 2도 이상인 경우, 그때마다 피부색이 푸른색으로 변하면서 통증이 동반된다면 레이노이드 증후군을 의심해 봐야 한다"고 권고했다.
박 교수는 "레이노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선 찬 곳을 피하고 추위에 노출될 때는 반드시 장갑을 착용해야 한다"며 "특히 흡연자일수록 레이노 증후군에 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금연도 필수"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