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두산, 유동성 확보차 계열사 매각 ‘새로운 모델 시도’

두산이 두산DST 등 3개 계열사와 한국우주항공산업(KAI) 지분(20.54%)을 7800억원에 매각했다.

두산과 두산인프라코어는 3일, 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삼화왕관 사업부문, SRS코리아, 두산DST, KAI 지분을 특수목적회사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두산과 재무적 투자자는 이들 지분을 인수하기 위해 각각 DIP 홀딩스와 오딘 홀딩스라는 특수목적회사를 설립했으며, 51:49 비율로 지분을 인수하기로 했다.결국 두산의 경영원은 인정되는 셈으로, 재무적 투자자는 미래에셋PEF와 IMM 프라이빗 에쿼티(PE)이다.

재무적 투자자는 특수목적회사에 2700억원을 출자하고 두산도 특수목적회사에 2800억원을 출자해, 두 특수목적회사는 두산 3개 계열사와 KAI 지분을 7800억원에 인수했다.

두산이 이처럼 새로운 매각방식을 도입한 것은 현재의 M&A 시장 여건에서 선제적 구조조정을 마무리하여 핵심사업에 경영 역량을 집중하고 경기회복기에 대비한 경쟁력 강화 여력을 조기에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두산은 지난해와 올해 초에 있었던 테크팩(매각대금 4000억원)과 주류부문 매각(5027억원)에 이어 3개 계열사와 KAI지분을 정리, 총 1조7000여 억원 규모의 구조 조정을 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두산DST와 KAI 지분(20.54%)을 매각함으로써 6300억원의 현금을 확보하며 '밥캣' 인수로 제기됐던 금융시장의 자금 불안 우려를 해소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계약은 두산의 경영능력과 재무적 투자자의 투자능력이 결합되어 향후 발생할 투자회사의 가치증대 성과를 공유함으로써 '윈-윈'하는 새로운 구조조정 모델이다.

주요 절차와 자금 유입은 6월 말까지 마무리 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