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영국에서 금융위기가 발생하더라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제한적일 것으로 4일 전망했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작성한 영국발 불안요인에 대한 내부 보고서에서 영국 금융시장 악화시 국내 시장에서 영국계 자금의 급격한 회수 가능성은 자금의 성격 등을 고려할 때 크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영국발 금융불안이 심화되더라도 외화유동성 여건과 과거 사례를 볼 경우 한국의 금융시장이 충분히 감내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4월 말 기준으로 국제결제은행(BIS)은 한국에 대한 외국계 은행들의 전체 투자금액이 3천9억 달러며 이 가운데 영국계 투자자금은 총 742억 달러로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영국계 자금 가운데 실제 해외로 인출이 가능한 금액은 최대 340억~370억 달러 정도이며 이마저도 다국적 투자자들로 복잡하게 얽혀 있고, 차입금 만기도 각각 달라 실제로 일시에 회수할 수 있는 금액은 최대 100억 달러에도 못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영국계의 한국 투자 자금 742억 달러 중 160억 달러는 국내 은행의 외화차입금이다. 이는 은행별로 차입 만기가 있어 일시에 빼낼 수 있는 금액은 전체의 10%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정부는 판단하고 있다.
이어 영국 소재 법인이 한국에 투자한 증권투자자금(주식+채권)은 172억 달러지만 이 가운데 60~80%가 실제 자금원은 영국이 아닌 중동, 러시아, 인도 등으로 영국계 회사들은 투자중개 역할만 한 것으로 파악됐다.
즉 이 자금의 대량 회수가 일어나려면 영국 경제와 함께 미국, 중동 등도 동시에 악화돼야 하는데 이런 경우가 아니고서는 영국계 은행이 단독으로 한국에 대한 투자금을 회수할 가능성이 극히 제한적이라는 분석이다.
이밖에 한국 소재 영국계 은행들의 외화대출금이 40억 달러, 원화대출금이 370억 달러다. 원화대출금 370억 달러는 주택담보대출 등 기본적인 은행 업무라서 은행을 폐쇄하지 않는 한 회수가 불가능하다.
특히 정부는 한국의 5월 현재 외환보유액이 2천268억 달러에 달하고 4월 경상수지 흑자도 42억8천억 달러에 달하는 등 외화 유동성 여건이 지속적으로 좋아지고 있어 영국발 금융 불안이 증폭되더라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금융불안이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해에 국내에서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이 무려 395억 달러나 유출됐지만 한국 시장은 이를 충분히 감내하는 등 외부 요인에 대한 내성이 강해진 점에도 자신감을 갖고 있다.
재정부 관계자는 "영국의 금융위기 영향과 관련해 내부 분석을 해본 결과 외부에서 우려하는 만큼 일시 자금이 유출될 가능성도 극히 적은데다 기본적으로 우리나라의 외환 및 금융시장이 체질이 강해져 충분히 감내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영국의 금융위기가 미국발 금융위기처럼 전 세계를 덮칠 경우 최근 회복 조짐을 보이는 세계 경제가 다시 흔들릴 수 있어 그 점에 대해서는 우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