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서울시 ‘비정규직 실직자 취업상담창구’ 28곳 운영

서울시가 비정규직 실직자 지원에 나섰다.

서울시는 비정규직법 시행으로 실직한 서울시민의 재취업을 돕기 위해 서울일자리플러스센터를 비롯한 25개 자치구에 ‘비정규직 실직자 전담상담창구’ 28곳을 마련하고 지난 15일부터 운영을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비정규직 법 시행 이후, 근속기간 2년을 초과한 비정규직 근로자중 정규직으로 전환된 경우는 총 272개 사업장에 1433명으로 전체의 약 27%에 달하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정규직 전환보다 해고되는 경우가 늘고 있어 직접 나서게 됐다고 서울시는 밝혔다.

지난 16일 노동부가 발표한 ‘비정규직 동향보고’에 따르면 비정규직법 시행 15일 동안 실직한 비정규직 근로자는 전국적으로 총4742명이며, 같은 기간 내 서울지역 366개 사업장에서도 1995명의 근로자가 해고 됐다.

서울일자리플러스센터 3개소를 비롯해 자치구별 1개소 이상 운영되는 비정규직 실직자 전담상담창구는 전담상담사가 심층상담을 통해 개인별 취업지원계획을 수립하고 그 결과에 따라 맞춤형 일자리를 집중적으로 알선해준다.

서울시는 또한 공공기관 및 중소기업의 빈 일자리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비정규직 실직자를 연결해주는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구인요건을 충족하는 실직자는 즉시 연결해 주고, 구인 요건에 미달하는 실직자에게는 시 산하 직업학교와 민간교육 훈련 기관의 직업훈련을 이수토록 해, 직무능력을 향상시켜 고용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또한 서울시는 62억을 추경예산에 반영하여, 취업취약계층 비정규직 실직자의 생계보호를 위해 공공근로 사업을 시행할 계획이다.

창업을 희망하는 실직자에게는 최대 8천만원까지 대출도 해준다. 창업전문상담사와 전문인력풀로 구성된 ‘비정규직 실직자 창업지원 전담팀’은 현장성 있는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체계적인 창업컨설팅과 경영진단서비스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비정규직 실직자의 신용보호를 위해 개인의 재무관리 및 신용관리에 대한 특별강좌를 마련해, 실직과 함께 발생 가능한 신용 위기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해당분야 전문가의 개인 재정 상태 진단 및 재무설계 컨설팅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