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오염과 에너지 절약을 위해 자전거 이용이 급증하면서 관련사고도 증가하고 있다.
사고액수가 부담스러운데 보험가입을 고려해보는 것은 어떨까?
◆자전거 보험 출시 잇따라
금융권은 지난 2001년 가입자들의 도덕적 해이로 판매가 중단됐던 자전거 보험을 속속 내놓고 있다.
삼성화재는 지난 6월 업계 최초로 '녹색자전거보험'을 출시했다.
만 5세부터로 가입이 가능한 이 상품은 자전거 이용 중 발생하는 본인의 사망(최고 1억5000만원)·후유장해 (최고 6000만원)·입원비(최고 일당 5만원) 등을 보장한다. 또 자전거 이외에 다른 교통사고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보험료를 내면 보상을 해준다.
LIG손해보험, 현대해상과 동부화재도 잇따라 자전거 보험을 출시하고 있다.
LIG손해보험도 지난 3일 개인용자전거 보험을 내놨는데 자전거를 타다가 발생한 본인의 상해 사망과 후유장해, 입원비를 보상하고 자전거 이외의 교통사고에 대해서도 상해 사망과 후유장해를 보상한다. 이 상품은 연령에 관계없이 연간 5만원의 보험료로 자전거 상해 관련 고액의 보장을 받을 수 있다. 현대해상은 인터넷 판매 전용으로, 동부화재는 설계사 채널을 통해 자전거보험을 시판하고 있다.
시·도 주민의 자전거 사고 위험을 보장해주는 단체 자전거 보험도 활성화되고 있다.
LIG손해보험은 경남 창원시와 경기도 이천시, 대전광역시, 서울 강남구 등과 계약을 맺고 지역 시민을 대상으로 자전거 사고 위험을 보장해주고 있다.
자전거 사고는 크게 세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자전거와 자동차 간 사고와 자전거와 보행자의 충돌 사고 그리고 자전거 단독 사고인데 이중 자전거와 자동차 간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2007년 기준 전체 자전거 사고 중 96%를 차지했다.
자전거보험은 일반 상해보험과 별 차이가 없는데 이미 상해보험을 들었다면 중복 보상을 받지 못하므로 가입전 검토가 필요하다.
하지만, 자전거보험 상품은 대부분 자전거의 파손이나 도난 등은 보장 대상에서 빠지며 비난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