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쌀 소비촉진 위해 공업용 쌀 30% 가격 낮춰 공급키로

정부가 쌀 소비 활성화를 위해 당분간 가공용 쌀 공급가격을 30% 낮춰 공급키로 했다. 이에 쌀 제분공장이 정부 주도로 설립되고, 군대와 학교에 쌀 가공식품 공급이 확대된다.

농림수산식품부는 13일 이 같이 다양한 쌀 소비촉진 방안을 골자로 한 '쌀 가공식품 활성화 방안'을 공식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우선 쌀가공식품의 가격 경쟁력 제고를 위해, 가공용 정부 쌀의 공급가격을 한시적으로 30% 인하하기로 했다. 현재 ㎏당 1446원에서 1000원으로 30% 내려 공급하게되며, 또 3년 이상 보관된 정부쌀은 가공용으로 공급이 가능하도록 제도화한다.

이러한 조치는 국수, 라면, 빵 등의 밀가루 제품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시장에 쌀 제품이 진입,경쟁할 수 있도록 1년 이상의 기간을 두고 한시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에 따른 것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정부 재고미 변동 추이와 시장상황을 봐가며 언제까지 공급가를 인하할지 결정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농식품부는 또 쌀가공식품의 원료가 되는 쌀가루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규모화된 쌀가루 제분공장 설립을 추진키로 했다.

제분공장의 투자 확대와 신규 공장의 진입을 유도하기 위해 정부의 가공용 쌀 공급체계를 점진적으로 쌀가루 공급으로 전환, 쌀가루 시장이 활성화 되도록 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지금까지는 쌀이 1%가 포함돼 있더라도 '쌀국수' '쌀라면' 등으로 표기가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일정비율 이상으로 쌀이 들어가지 않으면 쌀을 표기할 수 없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이외에도 정부는 쌀 가공식품 확대를 위해 군대·경찰·학교·교도소 등 공공부문부터 밀가루 식품을 쌀 가공식품으로 대체해 공급키로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현재 밀가루로 대체된 막걸리와 떡볶이 재료만 쌀로 돌려놓아도 재고 쌀 소비에 큰 효과를 낼 수 있다"면서 "제도개선과 함께 국민들의 인식전환을 위한 홍보도 대폭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정부는 이를 통해 현재 연간 27만톤인 가공용 쌀 소비량을 2012년에는 47만톤까지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