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윤기 교수 |
또한, 이 메커니즘과 관련된 새로운 단백질을 발굴하는 데 성공했다.
김윤기 교수팀의 이번 연구는 새로운 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NMD(nonsense-mediated mRNA decay) 유발 질병인 유전병과 암을 분자생물학적으로 이해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일반연구지원사업 기본연구와 중견연구자지원사업 핵심연구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과학저널인 ‘Genes and Development’(IF: 13.623)에 7월 31일 자 온라인 판에 발표되었고, 9월 1일자로 발간되었다.
김윤기 교수는 "CTIF 단백질을 발견하고 그 기능을 규명한 것은 사람의 세포에서 일어나는 새로운 유전자 발현 조절 기전의 발견뿐만 아니라, 이 단계에서의 조절은 NMD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음으로 CTIF을 이용한 NMD 저해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김윤기 고려대 교수와 장승기 포스텍 교수의 주도 하에 김경미 박사과정생, 조하나 석박사통합과정생, 최고봉 박사가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