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고등학생 금융이해력 ‘낙제’수준

고등학생들의 금융이해력이 전체적으로 낙제점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감독원은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최현자 교수와 함께 전국 25개 고등학교 2학년 재학생 2,391여명을 대상으로 금융이해력 지수를 측정한 결과, 조사대상 학생들의 금융이해력 평균 점수가 100점 만점에 55.3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금감원은 2006년도의 48.2점에 비해 7.1점 상승했지만,“금년도 측정문항의 내용과 표현을 상당부분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수정한 것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 점수가 높아졌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세부 영역별 점수를 보면, 재무(화폐)관리(66점), 저축.투자(54점), 소득(53점) 영역 순이었고, 이중 특히 지출과 신용영역은  50.3점으로 낮아 신용관리 부문의 중점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항목에 따라서는 안전한 저축방법과 다양한 지불수단에 대한 이해 수준을 묻는 질문에 정답률이 각각 90.5%, 89.3%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신용카드 사용(27.3~37.0%)이나 금융상품 투자수익률(26.1%)에 대한 정답률은 크게 낮아, 아직 금융활동이 활발하지 않은 고등학생의 경우 이에 대한 기초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금융이해력지수 측정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전반적인 금융지식 수준을 파악하고, 이해력이 부족한 영역 등을 규명해 향후 체계적인 금융교육 방향을 설정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2003년 국내 처음으로 도입됐다. 

금감원은 학교 금융교육의 만족도와 성과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금융교육의 양적 확대와 함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