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펀드 수익률 金보다 원자재가 낫네

치솟는 금값에 투자자들은 금에 눈이 멀어 있지만 펀드 투자시 얻는 수익률은 금보다 원자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금 관련 지수를 추종하거나,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의 1%에서 최대 10%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기준 원자재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원자재 주식형펀드의 3개월 수익률은 1~22% 정도로 나타났다.

'미래에셋이머징천연자원증권자투자신탁 1(주식)'이 21.62%로 가장 좋았으며, '미래에셋자원부국증권투자신탁 1(주식)'은 17.59%, 'PCA글로벌기초산업증권자투자신탁I- 1[주식]'은 15.21%, '푸르덴셜글로벌천연자원증권전환형자투자신탁H(주식)'은 11.20% 등으로 뒤를 이었다.

이에 반해 금 관련 지수를 추종하거나,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 수익률은 최저 1%에서 최대 10%에 머물렀다.

골드인덱스 펀드 중에서는 'KB스타골드특별자산투자신탁(금-파생형)(운용)'이 5.48%, 'PCA골드리치특별자산투자신탁A- 1[금-파생형]'이 4.74%로 선두권에 위치했고, 골드주식형 펀드 가운데는 '블랙록월드골드증권자투자신탁(주식)(H)'이 9.71%, '신한BNPP골드증권투자신탁 1[주식]'이 7.86%로 선전했다.

이 같은 수익률 격차는 금에 비해 원자재가 경기나 인플레이션 민감도가 높은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대우증권에 따르면 경기나 물가에 대한 민감도는 원유가 가장 높은데 이어 상품, 농산물, 금 순이다.

물가 상승과 경기 회복이 지속될 때는 원유의 성과가 가장 좋았다. 금의 경우 장기적으로는 물가가 오를 때 수익률이 좋았지만, 1980년대 이후만 보면 금리 인플레이션 헤지보다 실질 수요에 보다 영향을 많이 받아 물가와 거의 영향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