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산업 새틀짜기의 핵심에 우리은행 매각 문제가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 조속히 뚜렷한 매각 기준을 밝혀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우리은행 최대주주인 예금보험 공사는 국민적 공감대가 이뤄지는 일만 남았다는 입장인 가운데, 하나은행이 우리은행 매각에 뛰어들었다.
하나은행은 M&A로 급성장했지만 선두권의 자리에서 밀려나고 있어 기업금융의 메리트를 갖고 있는 우리은행을 인수합병시 업계 선두권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하나은행 외에 매각사로 다른 은행이나 외국계 은행은 선뜻 나서지 않은 채 연기금과 일부 외국계 사모펀드가 다른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우리은행의 최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의 이승우 사장은 "국내 자본이든 해외 자본이든, 심지어 산업자본도 정당성만 있다면 언제라도 팔 수 있다"라고 밝힌바 있다.
그러나 정부가 명확한 매각기준을 제시하지 않으며, 시장에서는 매각 기회를 놓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