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기를 정확히 예측한 루비니 교수가 달러 약세로 형성된 자산거품이 붕괴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는 2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 기고한 칼럼에서 "3월 이후 주식, 에너지, 상품 등의 부문에서 위험 자산의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며 "이는 미국정부가 약달러를 방조하며 발생한 '캐리 트레이드'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캐리 트레이드(carry trade)는 저금리가 계속될 때 자금을 빌려 증권 등의 금융자산을 사들여 보유하고 있다가, 일정기간 후에 자산을 매각함으로써 그 차액을 노려 수익을 얻으려고 하는 거래 또는 투자기법을 의미한다. 돈을 빌려서 시작하는 거래라는 의미에서 차입 거래라고도 한다.
루비니 교수는 위험자산 가격 상승세는 미국의 실물경기 회복세를 크게 상회한다며 투자자들이 사실상 '마이너스 금리'로 달러를 차입해 고위험-고수익 자산을 사들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뿐 아니라 그는 외환보유고를 늘린 각국 정부가 미국 내 자산에 투자해 주식과 신용 거품도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거품은 갑자기 달러가 절상될 경우 돌이킬수 없는 자산 붕괴 사태를 불러온다고 루비니 교수는 분석했다.
루비니 교수는 "거품 붕괴 시나리오는 단기간에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지만 달러 캐리 트레이드가 길어지고 규모가 커질수록 충격도 확대될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