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정부 '유비쿼터스도시 종합계획' 확정

정부는 2일 정운찬 국무총리 주재로 ‘제1회 유비쿼터스도시 위원회’를 개최하여 U-City의 발전을 위한 범부처 차원의 종합전략인 '제1차 유비쿼터스도시 종합계획(2009~2013)'을 심의 확정했다.

제 1차 유비쿼터스도시 종합계획은, 건설과 IT의 융복합을 통해 교통, 환경, 에너지 등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도시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유력한 대안으로 평가받는 U-City를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정부차원의 추진전략으로서, U-City 산업을 한국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해외 진출을 활성화하고자 국가차원의 장기적인 청사진과 발전방향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기본계획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시민의 삶의 질과 도시 경쟁력을 높이는 첨단정보도시 구현’이라는 비전하에정부는 △도시관리 효율화, △신성장동력으로 육성, △도시서비스의 선진화 등 3대 목표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비전 및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추진전략으로서 ▲제도기반 조기 완비, ▲핵심기술의 조기개발·실용화, ▲U-City 산업 육성지원방안 마련, ▲국민 체감 U-City 서비스창출, 총 4대 추진전략과 함께 22개의 세부 실천과제들을 도출하였다.

이 과제를 추진하고자 정부는 앞으로 5년간(2009년~2013년) 국비 약 4,900억원을 집중적으로 투자하게 되며, 소요경비의 차질없는 확보와 민간분야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해 재원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방침이다.

정운찬 국무총리는 이날 '유비쿼터스도시는 우리 대한민국 젊은이들에게는 꿈과 희망을 펼칠 수 있는 블루오션 일자리로, 우일 경제에는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기회가 될 것이다'는 점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