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주간 아파트 시장 동향] 재건축 단지 시세 하락

주요 재건축단지도 시세가 하락하면서 저층 급매물이 나오는 등 강남권 재건축 하락세가 6주 이상 이어지고 있다.

강북권까지 약세가 확산하면서 서울 아파트값은 4주째 내림세를 보였다. 기존주택 수요자들이 보금자리주택을 비롯한 신규분양시장으로 이동하고 추가하락 우려 속에서 매수시장은 더욱 위축됐다. 전세시장도 서울 도심과 업무지구, 우수 학군지역을 제외하고는 서울하외곽지역과 수도권의 오름세가 뚜렷하게 둔화했다.

자료=부동산114
자료=부동산114

부동산114에 따르면 금주 매매시장은 ▼서울(-0.02%) ▼신도시(-0.01%)가 하락세를 이어갔다. 서울 재건축시장은 0.16% 떨어지며 6주 연속 하락했다.

구별로는 ▼송파(-0.59%) ▼강남(-0.14%) ▼강동(-0.07%) 순으로 추가 하락했고 개포주공, 잠실5단지, 가락시영, 둔촌, 고덕주공 등 대표적인 재했축단지들이 급매물도 1-2건씩 출시되면서 하락폭이 커졌다.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가락동 가락시영1,2차 단지는 하향 조정이 진행되고 있는데 연말까지 하락할 것으로 보는 전망이 우세하다. 강동구 고덕주공3단지 59㎡는 5억 7000만원 선에 급매물이 나왔지만 거래되지 않고 남아있다. 8월까지만 해도 7억 2000만원까지 실거래 된 바 있다.

강남구 개포주공도 드물게 매물이 나오지만 거래는 잘 이뤄지지 않는다. 올 연말 지구단위계획 신청 심의가 통과되면 용적률 상향을 기대할 수 있어 일부 물건은 거래가 되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는 소강상태를 보였다.

전세시장의 상승세도 다시 한풀 꺾인 분위기다. ▲서울(0.05%) 오름세도 10월 중순 이후 꾸준히 둔화하고 있으며 가격이 저렴한 인접 수도권으로 수요가 빠져나간 외곽지역의 조정이 눈에 띈다. ▲수도권(0.01%) 변동폭도 미미했고 신도시도 보합세를 유지했다. 수도권은 새 아파트 입주로 전세 물량이 여유를 보이는 곳도 늘어났다.

<11월 첫째주 아파트 매매시장>

11월로 접어든 서울 아파트시장은 급매물 출시와 함께 재건축단지의 가격 조정폭이 다소 커지는 모습을 보였다. 물량은 많지 않지만 추가하락이나 금리부담을 우려한 처분 매물이 나온 것으로 분석된다. 연말까지 기존주택의 가격 조정이 예상된다. 전세시장도 전반적으로 안정을 찾고 있다. 수요 선호지역과 밀집지역만 국지적인 매물부족과 가격 상승이 예상된다.

서울은 ▼송파(-0.09%) ▼노원(-0.05%) ▼강남(-0.04%) ▼도봉(-0.03%) ▼성북(-0.02%) ▼양천(-0.02%) 지역이 떨어졌다.

송파는 잠실동 주공5단지, 가락동 가락시영1,2차 재건축 단지가 거래 없이 하락했다. 강남은 개포주공4단지가 1000만원~2500만원 가량 하향 조정됐다. 도봉구 창동 주공3단지는 매수문의도 찾아볼 수 없어 250만원~1000만원 정도 기존 매물가격이 더 내렸다.

성동, 마포 등지는 소형아파트 위주로 일부 거래가 됐지만 전체적으로 보합세 수준이다. 마포구의 경우 아현뉴타운 이주로 가까운 공덕동 일대가 거래 움직임을 보였다.

▲동작(0.04%) ▲관악(0.02%) ▲서대문(0.02%) 등은 오르기는 했지만 수치는 미미했다. 동작구 사당동 신동아4차, 관악구 신림현대가 500만원 안팎으로 오름세를 보였는 데 저렴한 매물 위주로 거래됐다.

신도시는 분당이 0.02% 하락했고 나머지 지역은 변동이 없었다. 분당 정자동의 고가아파트 매물이 내린 호가에 출시되지만 매수자를 찾기 어렵다.

수도권은 ▲오산(0.05%) ▲광명(0.05%) ▲부천(0.05%) ▲안성(0.03%) ▲안산(0.01%) 등이 소폭 올랐다. 오산은 주공3단지 소형이 실수요자 거래로 250만원 가량 올랐다.

광명은 철산동 주공4단지 가격이 500만원~1000만원 가량 상승했다. 철산동 새 아파트 입주자들이 매물을 내놓은 하안동 주공2단지는 소폭 조정되기도 했다. 안산은 신안산선 개발사업이 확정됐다는 기사가 나오고 주변 저가매물이 소진되면서 시세는 올랐다.

▼의왕(-0.02%) ▼용인(-0.01%) ▼시흥(-0.01%) 등은 한 주간 떨어졌다. 의왕은 새아파트 입주로 기존 아파트 매수 문의가 줄고 거래도 이뤄지지 않는다. 매물이 쌓이고 있다.

<11월 첫째 주 전세 시장> 

서울의 전세금 오름세도 서서히 안정을 찾고 있다. 소폭이지만 주간 하락지역이 늘었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외곽, 수도권으로 수요가 빠져나가면서 가격 조정을 보이는 곳도 나타났다. 하지만, 도심 업무지구 주변과 유명 학군 주변 등지는 전세물건이 여전히 부족한 편이다.

▲양천(0.23%) ▲마포(0.23%) ▲성동(0.11%) ▲노원(0.10%) ▲중(0.10%) ▲강남(0.08%) ▲구로 (0.08%) ▲동작(0.08%) ▲서대문(0.07%) 순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양천구는 목동 목원초, 목원중 배정을 받기 위해 미리 움직이는 전세수요로 인해 목동신시가지7단지 전격금이 1000만원~2500만원 가량 상승했다.

마포구는 여의도 업무지구와 가까워 직장인 전세수요가 꾸준하다. 토정동 한강 삼성 등이 500만원 안팎의 오름세를 보였다.

▼강동(-0.13%) ▼강서(-0.08%) ▼관악(-0.03%) ▼도봉(-0.03%) ▼중랑(-0.02%) 등은 하락했다. 서울 외곽, 수도권 인접지로 수요가 이탈하면서 조정세를 보였다. 강서구 염창동 신동아 79㎡가 500만원 떨어졌으며 가양동 도시개발3단지(강변) 59㎡도 1000만원 하락했다.

수요가 줄면서 매물이 조금씩 여유를 보였다. 강동구 암사동 선사현대 79㎡는 1000만원 가량 떨어졌다. 전세수요가 줄어 매물이 일부 남아있다. 대기 중이던 전세수요가 인접한 경기 하남으로 이동했고 날씨가 추워지면서 전세수요 움직임도 둔화했다.

신도시는 매매와 마찬가지로 변동을 보인 단지가 드물었다. 분당, 평촌 등지에서 조정 매물이 나왔지만 전체적으로는 보합세를 유지했다.

수도권은 ▲남양주(0.04%) ▲용인(0.04%) ▲광주(0.03%) ▲광명(0.03%) 등이 소폭 상승했다. 광명의 경우 인근 가산, 구로, 영등포 등지의 직장인 수요가 꾸준히 찾고 있으며 하안동 주공4단지 등이 250만원~500만원 가량 올랐다.

의왕, 양주, 여주, 화성 일대는 새 아파트 입주로 전세물건 찾기가 수월해졌고 가격도 안정적이다. ▼안산(-0.01%)은 전세문의가 끊기면서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