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상공회의소가 지난 23일(현지시간)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 아시아 순방의 후속조치로 한국과 콜롬비아 등에 자유무역협정(FTA) 진전을 위한 구체적인 후속조치에 즉각 나서야 한다고 촉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워싱턴D.C. 상공회의소 2층 회의실에서 열린 `무역아젠다 지연에 따른 영향'이라는 기자간담회에서 미 상의는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미 상의는 유럽연합(EU)도 한국과 FTA를 체결한 상태라며 미국은 서두르지 않으면 경쟁자인 유럽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당할 수밖에 없다며 오바마 대통령의 즉각적인 결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존 머피 미 상의 국제담당 부회장은 “무역 이슈를 진전시키는데 실패하면 미국 노동자들의 실직이라는 대가를 치러야 한다”면서 “지체할 시간이 없다”고 강조했다.
머피 부회장은“캐나다와 유럽은 한국과 콜롬비아 등과 FTA를 내년에 마무리 지을 예정”이라고 밝히면서“이는 미국의 기업과 노동자들에게 강력한 경쟁자가 생긴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한미 재계회의 미국측 기업담당 공동의장인 조 데이먼드 화이자 부회장도“오바마 대통령이 한국 방문 당시 FTA를 내년에 진전시키기 원한다는 뜻을 밝혔다”면서 “이에 따른 구체적인 후속조치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데이먼드 부회장은 “오바마 대통령이 구체적인 지시를 하지 않는다면 2010년 FTA 완전타결은 어렵거나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역시 오바마 대통령이 FTA 타결이 가능한 시점을 제시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FTA 추진을 위한 지시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지적이다.
캐터필러의 빌 레인 정부담당 워싱턴 지국장도 “무역협정을 둘러싼 의견 차이는 사소하며,핵심은 FTA를 완전히 매듭지으라는 대통령의 지시”라며 “오바마 대통령의 전략적 결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