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사진 |
28일 펀드 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27일 기준으로 설정액 10억원 이상인 국내 주식펀드의 주간 평균 수익률은 -1.46%를 기록했다.
일반 주식펀드 수익률이 -1.40%로 가장 저조한 가운데 코스피200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 113개는 -1.33%, 배당주식펀드 33개는 -1.19% 수익률을 기록했다. 소형주와 코스닥시장의 상대적 선방에 중소형주펀드 17개는 -0.54%로 가장 선방했다.
소형주가 강세를 보이면서 소형주 비중이 높은 펀드가 주간 상위권을 차지했고, 시가총액 상위 종목 비중이 높은 펀드는 하위권으로 밀려났다.
펀드별로는 '에셋플러스코리아리치투게더 -자 1'펀드가 주간 1.11%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던 서비스업 비중(0.11%)이 시장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았던 게 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두바이 사업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삼성물산이 7.80% 하락한 영향으로 삼성그룹주 펀드들은 최하위에 자리했다.
해외주식펀드는 주간 -0.73%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경기회복 지연에 대한 우려가 확산된 가운데 유럽중앙은행 총재가 향후 금리인상과 점진적인 출구전략 가능성을 시사하며 글로벌 증시가 약세를 보였다.
러시아주식펀드는 국제유가 하락과 루블화 가치 하락으로 3.39% 손실을 기록했고, 중국, 러시아, 유럽 신흥국 주식펀드도 약세를 나타냈다.
반면 금 관련 기초소재펀드는 금값 고공행진에 주간성과 상위권을 차지했다.
중국정부가 은행들의 리스크관리 강화를 요청한 데 따른 대출규제 우려로 중국 주식펀드(126개)는 -1.03%, 일본 주식펀드(45개)는 엔화 강세에 따른 수출악화 우려로 -0.41% 수익률을 기록했다.
브라질 주식펀드(21개)는 브라질 증시가 사흘 연속 상승한 데 힘입어 주간 1.41%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인도중앙은행이 금 매수에 나설 것이란 보도가 나오면서 ‘기은SG골드마이닝 자A[주식]’ 펀드는 3.53%를 기록하며 주간 성과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신한BNPP골드 1[주식](종류A)’가 3.50%로 2위를 차지했다.
일본주식에 투자하는 ‘FT재팬플러스 자(주식)Class A’ 펀드는 증시하락에도 불구하고 엔화강세에 힘입어 같은 기간 2.12% 상승해 눈길을 끌었다.
중국 및 베트남에 투자하는 ‘한국투자차이나베트남 1(주식)(A)’펀드는 -6.08%로 저조한 성과를 보였다. 베트남 증시가 중앙은행의 금리인상(7.0%→8.0%)과 베트남 통화 평가절하(5.2%)로 큰 폭으로 하락하며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금융시장의 불안이 가중되면서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채권시장으로 자금이 몰려 채권 값이 강세를 보이면서 채권 펀드는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일반채권펀드는 0.12%, 중기채권펀드는 0.23%, 우량채권펀드는 0.18%, 하이일드채권펀드는 0.08%를 기록했다.
일반주식혼합펀드(66개)와 일반채권혼합펀드(212개)는 각각 -0.55%, -0.31%의 주간 수익률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