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DTI 규제 강화, 송파구가 가장 많이 떨어졌다

DTI규제가 확대되면서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거래시장이 위축되고 상승폭 역시 둔화했다.

27일 부동산정보업체 내집마련정보사에 따르면 지난 9월 7일 DTI 규제 이후부터 현재까지 약 석 달간 서울 지역별 아파트값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송파구가 가장 많이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DTI 규제 이후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는 이전에도 DTI 적용을 받고 있어 영향력이 적을 것으로 전망과는 달랐다.

자료=내집마련정보사
자료=내집마련정보사
지난 9월 7일부터 11월 27일까지 서울 아파트값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서울 전체가 0.16% 오른 가운데 송파구는 9월 초 3.3㎡당 2천550만 원에서 11월 27일 현재 3.3㎡당 2천531만 원으로 0.75%까지 떨어져 서울에서 가장 많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송파구가 DTI 규제 이전 한 달 동안(8월~9월)만 2%가 오른 것에 비하면 대조적인 모습이다.

송파구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 112㎡는 DTI 규제 전 12억 5천만~12억 9천만 원에서 무려 1억 1천500만 원이 떨어져 현재 11억 5천만~11억 7천만 원에 매물이 나와 있지만 매수자가 없다.

다음으로 강동구가 3.3㎡당 2천4만 원에서 1천995만 원으로 0.45%가 하락했다. 강동구는 그동안 강남3구와는 달리 투기지역에 일찌감치 해제돼 풍선효과를 톡톡히 봤었지만 DTI 규제로 묶여 투자자들이 대거 빠져 나가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강동구는 DTI 규제 한 달 이전만 아파트값이 4%가 올라 가장 많이 오르기도 했었다.

강동구 고덕동 고덕주공2단지 42㎡는 DTI 규제 전 5억 5천만~5억 7천만 원에서 2천250만 원이 떨어져 현재 5억 2천500만~5억 5천만 원, 둔촌동 둔촌주공1단지 52㎡는 3천만 원이 떨어져 6억 1천만~6억 2천만 원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

강남권뿐만 아니라 강북권 아파트도 올 상반기 많이 올랐던 지역을 중심으로 DTI 규제 이후에도 가격 하락폭이 컸다. 강동구에 이어 도봉구가 0.26%(1천157만 원→1천154만 원)로 뒤를 이었다. 도봉구는 북부 법조타운 조성, 재개발 등으로 작년 상반기에 이어 올 상반기에도 아파트값 상승률이 높았었다. 도봉구 방학동 우성1차 109㎡는 DTI 규제 이후 1천만 원이 떨어져 2억 7천만~2억 9천만 원이다.

그리고 은평구는 -0.18,(1천93만 원→1천91만 원), 노원구 -0.08%(1천280만 원→1천279만 원) 등의 순으로 하락했다.

그 외 지역은 DTI 규제 이후 오름세를 보였는데 그 중 중구가 4.2%(1천612만 원→1천680만 원)로 가장 많이 올랐다. 한편 강남구는 0.32%(3천460만 원→3천471만 원)가 올랐고, 서초구는 2.04%(2천840만 원→2천898만 원)가 올랐다. 강남구 개포동 개포주공1단지 56㎡는 DTI 규제 이후 5천500만 원이 하락해 현재 12억 8천만~13억 3천만 원에 매물이 나오고 있다.

내집마련정보사 양지영 팀장은 “DTI 규제 이후 올 상반기 가격이 많이 올랐던 지역을 중심으로 하락세도 컸다”면서 “시장에 불안심리가 여전히 내재하여 있기 때문에 당분간은 관망세가 짙어 가격 하락이 더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